온실가스 배출 순위 2017년 22위→2018년 19위→2019년 15위, 3년간 계속 상승
2017년 545만3482tCO₂-eq→2019년 698만1253tCO₂-eq, 탄소배출 증가폭 커
올해 초 KAU20 탄소배출권 시세 기준 2020년 탄소부채 약 1313억6666만원 추정
‘비전2030’ 탄소중립 그린성장 본격화…온실가스 저감 위해 탄소제품화 사업 추진
블루수소·화이트바이오·친환경 소재 등 친환경 에너지 3대 미래 사업 관련 투자 확대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캡처=최양수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캡처=최양수

[편집자 주] 지구온난화로 인해 최근 이상기후가 증가하면서 전세계적으로 국제사회는 ‘탄소중립’을 핵심가치로 내세워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해 국제적인 공동 대처를 이어가고 있다. 이미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실질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국가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을 강제로 제한하기 위해 각종 규제성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2~1982년 동안 연평균 국민총생산 성장률이 8.2%에 이르는 고도성장을 기록하면서 이른바 ‘한강의 기적’을 이뤄내면서 눈부신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한 산업화를 완성했다. 빠른 성장세를 보여주어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루었지만 철강·조선·화학 등 전통적인 굴뚝 산업들의 성장으로 인해 세계 국가별 탄소배출량(CO₂) 순위에서 9위에 랭크됐고 1인당 연간 탄소배출량에서는 6위로 순위가 올라가며 탄소 악당이란 오명을 썼다.

한국도 산업화를 거쳐 탈산업화(post-industrialization)가 진행되면서 지식·정보·서비스 산업이 경제활동의 중심적인 비중과 위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2050 탄소중립’에 동참하게 됐다. 하지만 우리가 오해하는 것이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 공장의 굴뚝을 막는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개개인도 일상에서부터 산업의 모든 부분에서 탄소와 연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분에 걸쳐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뉴스워치>에서는 탄소중립과 관련해 산업 전분야에 걸쳐 탄소중립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점검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홍보 영상. /캡처=최양수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홍보 영상. /캡처=최양수

[뉴스워치= 최양수 기자] 현대중공업그룹 계열의 석유 정제 전문업체인 현대오일뱅크(Hyundai Oilbank Co., Ltd.)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유 회사다. 현대오일뱅크는 석유정제 및 석유제품 판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휘발유·경유·등유 등 주요 에너지원과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마케팅, 전국 직영, 자영 주유소, 국제 F3 연료, 레이싱팀 등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있다. 또 현대쉘베이스오일, 현대오일터미널, 현대케미칼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정유회사로 1964년 11월 극동석유공업(주)으로 창사 이래 반세기 동안 국가 에너지산업 발전과 안정 수급을 위해 매진해 왔다. 1980년 도시가스공급 사업자로 선정돼 1981년 3월 극동도시가스(주)를 설립하고 LNG(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1988년 국내 최초 중질유 분해시설을 도입해 석유정제 기술을 한 단계 끌어 올렸다.

이후 1993년 현대그룹 편입되면서 현대정유(주)로 사명을 변경해 본격적인 경쟁력을 갖춘다. 총 100만평 규모의 충남 대산공장은 일산 11만 배럴의 제1공장과 1996년 증설한 일산 28만 배럴의 제2공장을 포함해 총 39만 배럴 규모의 석유 정제능력을 갖추고 있다.

1994년 6월 업계 최초로 주유소 브랜드 ‘오일뱅크(OILBANK)’를 도입해 론칭한 이후 경질유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고 전국 주유소에서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2년에는 회사 이름도 현대오일뱅크(주)로 변경했다. 2010년 현대중공업그룹으로 편입됐다.

이후 2018년 5월부터 주유소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석유제품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모바일 랩’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로써 주유소의 직원들이 모바일 랩에 탑재된 검사장비를 활용해 가짜 석유를 잡아내어 품질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됐다.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에 소개된 사업 부분. /캡처=최양수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에 소개된 사업 부분. /캡처=최양수

이를 통해 현대오일뱅크는 LPG(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나프타, 휘발유, 항공유, 등유, 경유, 중유 등 주요 에너지원 및 석유화학의 기초 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됐으며 정유·윤활·석유화학 부문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완성했다. 또 기존 정유 사업 외에도 유류저장 사업, 윤활기유 사업, 혼합자일렌 사업, 카본블랙 사업 등의 신규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내외 환경 변화에 전략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 현대오일뱅크는 전세계적인 친환경 그린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야하는 상황이 됐다. 파리 협약(파리기후변화협정·Paris Climate Change Accord)으로 전세계 정부에서는 속속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특히 한국정부는 지난해 10월 28일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실질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겠다며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게 됐다. 탄소중립 선언은 중국과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다.

또 지난 8월 31일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35%로 감축하는 환경부 소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내에서도 탄소중립은 각 기업들에게는 꼭 해결해야만 하는 숙제가 됐다.

특히 정유업은 대표적인 ‘굴뚝 산업군’이다. 현대오일뱅크 역시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탄소중립은 중대한 과제를 받게 됐다. 이산화탄소(CO₂) 실질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중립과 관련해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넷제로’(Net Zero·탄소중립) 달성은 현대오일뱅크에게도 미래 지속 경영과 함께 기업의 성장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부분이 됐다.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부채에 대한 부분도 경영을 위해 신경을 써야할 부분이 됐다.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NGMS(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에서 공개한 현대오일뱅크의 ‘명세서 배출량 통계’ 자료. /도표=최양수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NGMS(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에서 공개한 현대오일뱅크의 ‘명세서 배출량 통계’ 자료. /도표=최양수

현대오일뱅크에서 공개한 환경부의 내부기관으로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NGMS)를 통해 발표한 ‘명세서 배출량 통계’ 자료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된 자료를 살펴보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의 ‘명세서 배출량 통계’ 자료를 보면 현대오일뱅크의 온실가스 배출량 순위가 2017년 22위, 2018년 19위, 2019년 15위로 매해 순위가 상승하며 2017년부터 2019년까지 탄소배출 관련 모든 지표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현대오일뱅크의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면 2017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 545만3482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6만3809TJ를 기록했고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85.4657CO₂-eq였다.

2018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 617만9593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6만8016TJ로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90.8549CO₂-eq를 기록했다. 2017년에 비해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13.3146%인 72만6111tCO₂-eq가 늘어났고 총 에너지 사용량은 6.5931%인 4207TJ가 증가했다.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6.3056%인 5.3892CO₂-eq로 조사됐다.

2019년 총 온실가스 배출량 698만1253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7만6290TJ로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91.5094CO₂-eq를 작성했다. 2018년에 비해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12.9726%인 80만1660tCO₂-eq가 늘어났고 총 에너지 사용량은 12.1647%인 8274TJ가 증가했다.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0.7203%인 0.6545CO₂-eq을 기록하며 증가했다.

2017년에 비해 2019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28.0145%인 152만7771tCO₂-eq가 늘어났으며 총 에너지 사용량은 19.5599%인 1만2481TJ가 증가했다.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7.0714%인 6.0437CO₂-eq를 나타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된 현대오일뱅크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자료. /캡처=최양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된 현대오일뱅크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자료. /캡처=최양수

여기에 현대오일뱅크에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한 자료까지 포함해서 살펴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020년 총 온실가스 배출량 684만2014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7만961TJ로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96.4193tCO₂-eq를 기록했다.

2017년에 비해 2020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25.4613%인 138만8532tCO₂-eq가 늘어났고 총 에너지 사용량은 11.2084%인 7152TJ가 증가했다.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12.8163%인 10.9536CO₂-eq를 기록했다.

현대오일뱅크는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개한 온실가스 배출 관련 지표를 살펴보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총 온실가스 배출량 지표가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오일뱅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의 목표관리) 제6항 및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8조(할당대상업체의 지정 및 지정취소)에 의해 2015년부터 시행된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업체 및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대상 기업으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배출권을 할당 받았으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4조(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등의 보고) 제1항과 정부의 지침에 따라 외부 검증기관에서 제3자 검증을 마친 현대오일뱅크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을 정부에 신고하고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있다. 또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년 온실가스 배출량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정부에 제출해 투명하게 밝히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대기로 배출되는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를 위해 대기오염물질별 최적의 방지시설, 악취저감 소각설비(RTO),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회수설비(VRU) 및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시설 보완 등의 중장기 환경투자 계획을 수립해 운영 중이다.

또 현대오일뱅크는 2015년부터 시행된 배출권거래제 대응을 위해 EMS(Energy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고 ISO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해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미 대산공장의 에너지진단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비전2030’ 자료. /캡처=최양수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비전2030’ 자료. /캡처=최양수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온실가스 거래제 제3차 계획기간(2021년∼2025년)에 따라 탄소배출권 3기가 시행돼 탄소배출이 늘어난 기업들은 막대한 탄소배출권 구매비용을 지불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현대오일뱅크는 온실가스 거래제로 인해 기업 재무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서 탄소부채는 없음이 확인됐지만 탄소배출권을 포함하지 않은 총 온실가스 배출량을 탄소부채로 환산해서 계산하게 되면 잠정 부채 비율이 증가해 경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한 자료에서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현대오일뱅크의 2020년 연간 매출액은 13조6899억원, 영업손익은 5933억원, 당기순손익은 3597억원, 자산총액은 14조6762억원, 자본금은 1조2254억원이다.

또 KRX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자료에 따른 올초 KAU20 탄소배출권 시세를 기준으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현대오일뱅크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을 탄소부채로 환산해 추정치를 산정해봤다.

그 결과 현대오일뱅크는 2017년은 약 1047억685만4400원, 2018년은 약 1186억4818만5600원, 2019년은 약 1270억5880만4600원, 2020년은 약 1313억6666만8800원으로 추산됐다.

KAU20 탄소배출권 시세가 올해 초 기준이기 때문에 산정값은 변경될 수 있다. 문제는 올해 초 탄소배출권 시세보다 금액이 상승할 요인이 많기 때문에 기업 경영에 부담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또 정부가 감축목표를 상향하기로 하면서 기업들의 탄소배출 구매 부담이 적게는 수백억에서 수천억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는 상황이다. 현재 탄소배출권 가격은 전반적으로 상승세가 잠시 둔화됐지만 본격적인 배출권거래제 3기 시행 이후로는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탄소부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지난 8월 31일 국회를 통과한 탄소중립기본법에 더해 국제적으로는 EU(유럽연합)에서 적극적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를 도입하면서 탄소배출권 가격이 연말까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돼 현대오일뱅크는 추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탄소부채로 인한 경영부담을 줄이기 위해 뼈를 깎는 탄소저감 노력을 실천해야한다.

뉴스워치에서 현대오일뱅크의 탄소 저감 노력에 대해 문의한 결과 “‘비전2030’을 통한 탄소중립 그린성장”에 대해 자세히 들을 수 있었다.

현대오일뱅크는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환경 보호·사회적 가치 공헌·지배구조 윤리경영) 경영을 본격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탄소중립 그린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현대오일뱅크는 그린성장 목표 달성을 위해 탄소제품화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탄소제품화 사업은 공장 가동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건설자재 원료, 탄산가스, 드라이아이스 등의 제품으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현대오일뱅크와 DL이앤씨는 8월 정유 부산물인 탈황석고와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탄산칼슘과 무수석고 등 탄산화제품을 생산하는 CCU(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이산화탄소 포집 및 재활용) 기술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2022년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 내 연간 10만t의 생산공장 건설을 시작으로 이후 최대 60만t으로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이를 통해 정유 부산물인 탈황석고를 연간 50만t 가량 재활용하게 된다. 또 탄산화제품 1t 당 이산화탄소 0.2t을 포집·활용할 수 있어 연간 12만t의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소나무 1000만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 양으로 CCU 설비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생산된 탄산화제품은 시멘트, 콘크리트, 경량 블록 등 건축 자재의 대체 원료로 공급된다.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비전2030’ 자료. /캡처=최양수
현대오일뱅크 홈페이지의 ‘비전2030’ 자료. /캡처=최양수

현대오일뱅크는 수소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전량을 회수해 활용할 수 있는 블루수소 인프라도 구축하고 있다. 지난 6월 국내 최대 액체 탄산 제조업체인 신비오케미컬과 탄소제품화를 위한 사업협력을 맺고 ‘액체 탄산 생산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반도체 공정용 탄산가스와 드라이아이스 등을 제조하는 이 공장은 내년 상반기 완공 예정이다.

현대오일뱅크는 연산 20만t의 수소 제조 공정을 갖추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연간 약 36만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이번 사업협력을 통해 현대오일뱅크는 수소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전량을 회수해 제품화 하게 된다. 이는 국내 정유업계에서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기존 수소 제조 공정이 블루수소 생산 기지로 탈바꿈하는 셈이다.

현대오일뱅크 강달호 대표는 "2021년을 탄소중립 그린성장의 원년으로 삼고 본격적인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금까지의 사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블루수소, 화이트바이오, 친환경 소재 등 3대 미래 사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오일뱅크는 업계 최고의 정제시설을 바탕으로 정유 부문의 핵심 경쟁력을 유지하는 한편 비정유 부문의 신규 사업 확대를 통해 갑작스러운 사업 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최근 친환경 에너지 확대 등 에너지 산업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오일뱅크는 종합에너지 기업으로서 신재생 에너지 사업,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사업, 전기차 및 수소차 관련 사업 등 친환경에너지 관련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적극 추진해 기존 시스템 디지털화, 신규 디지털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경쟁력 강화 및 운영 효율화를 추구할 예정이다. 이러한 현대오일뱅크의 신규사업 추진은 현대중공업그룹 ‘미래성장계획’과도 연결되며 현대오일뱅크는 그룹 로드맵의 핵심 축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친환경 에너지 중심의 신사업은 ‘2050 탄소중립’ 실천으로 이어갈 예정이다. 현대오일뱅크는 2020년 9월 ‘탄소중립 그린성장’을 선언했으며 단계적으로 2050년까지 전년도 대비 탄소배츨량을 30% 감축하는 목표를 세웠다. 친환경 신사업을 통해 글로벌 환경이슈에 대응하고 미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만들어 나갈 계획을 밝혔다.

최양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