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2019년 3년 총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소비량 지표 지속적 증가세 보여
총 온실가스 배출량 2017년 87만5401tCO₂-eq→2019년 100만5576tCO₂-eq↑
대규모 통신 데이터센터, 온실가스 간접적 배출 대표적 시설…탄소배출 가능성 높아
국내 통신분야 최초 온실가스 감축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 온실가스 연간 1만톤 감축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 53% 감소, 환경부 인증 획득…ESG 경영 선도 사례로 주목 받아

SK텔레콤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모습. /캡처=최양수
SK텔레콤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모습. /캡처=최양수

[편집자 주] 지구온난화로 인해 최근 이상기후가 증가하면서 전세계적으로 국제사회는 ‘탄소중립’을 핵심가치로 내세우며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해 국제적인 공동 대처를 이어가고 있다. 이미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실질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국가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탄소 배출을 강제로 제한하기 위해 각종 규제성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2∼1982년 동안 연평균 국민총생산 성장률이 8.2%에 이르는 고도성장을 기록하면서 이른바 ‘한강의 기적’을 이뤄내면서 눈부신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한 산업화를 완성했다. 빠른 성장세를 보여주어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이루었지만 철강·조선·화학 등 전통적인 굴뚝 산업들의 성장으로 인해 세계 국가별 탄소배출량(CO₂) 순위에서 9위에 랭크됐고 1인당 연간 탄소배출량에서는 6위로 순위가 올라가며 탄소 악당의 오명을 썼다. 한국도 산업화를 거쳐 탈산업화(post-industrialization)가 진행되면서 지식·정보·서비스 산업이 경제활동의 중심적인 비중과 위상을 차지하게 되면서 ‘2050 탄소중립’에 동참하게 됐다. 하지만 우리가 오해하는 것이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 공장의 굴뚝을 막는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개개인도 일상에서부터 산업의 모든 부분에서 탄소와 연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전부분에 걸쳐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뉴스워치에서는 탄소중립과 관련해 산업 전분야에 걸쳐 탄소중립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점검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SK텔레콤 홈페이지의 홍보 영상 모습. /캡처=최양수
SK텔레콤 홈페이지의 홍보 영상 모습. /캡처=최양수

[뉴스워치= 최양수 기자] SK그룹 계열의 이동통신업체 기업인 SK텔레콤은 가장 규모가 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통신업체로서 정평이 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1984년 3월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서비스로 설립됐으며 1994년 민영화를 거쳐 1997년 3월 SK텔레콤으로 상호가 변경됐다. 한국의 지배적인 이동통신업체로 기술 기발에 힘써 단말·요금제·네트워크·콘텐츠 등을 기반으로 한 무선통신사업에서 시장점유율 1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작년 매출액 18조6247억원, 영업이익 1조349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동통신(MNO) 회복세 본격화와 New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정보통신기술) 사업 전 영역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인 결과다. 지난 10일 SK텔레콤 이사회에서는 분할계획서를 결의하고 회사를 ▲SK텔레콤(존속회사)과 ▲SKT신설투자(중간지주회사)로 나누기로 하면서 SK텔레콤은 제2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뉴스워치에서는 SK텔레콤 관계자에게 ‘탄소중립’에 대해 문의한 결과 “SK텔레콤은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이 없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고 기업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 전사 차원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탄소배출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사실일까? 통신과 관련해 대규모 데이터센터에서 탄소배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네트워크 설비 등을 갖추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보관하고 처리하는 컴퓨터를 갖춘 시설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는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시설로 생각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는 공장과 달리 굴뚝이 없기 때문에 외부 오염물질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데이터센터는 온실가스를 간접적으로 배출하는 대표적 시설로 꼽힌다. 

SK텔레콤의 인택트 면접 홍보 영상 모습. /캡처=최양수
SK텔레콤의 인택트 면접 홍보 영상 모습. /캡처=최양수

테이터센터가 돌아가는 과정에서 열기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시설 특성상 열을 식혀주지 않으면 100도까지도 치솟을 수 있는 컴퓨터를 식히기 위해서는 여름이나 겨울이나 냉방설비가 24시간 365일 가동돼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전기는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에서 뿜어내는 열을 식히기 위한 냉방설비 가동에 쓰인다. 데이터센터의 적정 온도는 통상 19~21도이며 최근 미국냉동공조학회(ASHRAE)에서는 기술의 발전을 감안해 18~27도를 적정 온도로 제시하고 있다.

또 ‘굴뚝 없는 공장’인 데이터센터는 네트워크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대규모 전력이 필요하다. 국내 전력의 과반수는 화석연료인 석탄과 천연가스 등을 통해 얻는 만큼 데이터센터에서 ‘전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화석연료에서 발생하는 간접적인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나는 셈이다.

결국 테이터센터 역시 탄소배출의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기업들에게는 데이터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건 적잖은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2020년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환경 보호·사회적 가치 공헌·지배구조 윤리경영) 경영 평가에 따르면 SK텔레콤은 환영 분야에서 A+ 등급을 받았다. 그만큼 탄소저감을 위한 노력을 착실하게 진행 중이다.

SK텔레콤에서 공개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환경 데이터 자료. /캡처=최양수
SK텔레콤에서 공개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환경 데이터 자료. /캡처=최양수

SK텔레콤에서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하게 증가했다.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면 2017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 87만5401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1만7983TJ를 기록했고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48.6793tCO₂-eq였다. 

2018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 93만4664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1만9204TJ로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48.6702CO₂-eq를 작성했다. 2017년에 비해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6.7698%인 5만9263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은 6.7897%인 1221TJ,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0.0186%인 -0.0091CO₂-eq을 기록했다.

2019년 총 온실가스 배출량 100만5576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 2만664TJ로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48.6631tCO₂-eq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 2018년에 비해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7.5868%인 7만912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은 7.6025%인 1460TJ,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0.0332%인 -0.0162tCO₂-eq를 보였다. 

2017년에 비해 2019년에는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14.8703%인 13만175tCO₂-eq, 총 에너지 사용량은 14.9085%인 2681TJ, 에너지사용량 1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은 -0.0332%인 -0.0162CO₂-eq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은 3세대 이동통신(3G·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과 롱텀에볼루션(LTE·4G) 장비 통합 및 업그레이드로 약 53%의 전력 사용량 절감 효과를 내는 ‘싱글랜 기술’을 통해 환경부로부터 국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인정받았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3세대 이동통신(3G·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과 롱텀에볼루션(LTE·4G) 장비 통합 및 업그레이드로 약 53%의 전력 사용량 절감 효과를 내는 ‘싱글랜 기술’을 통해 환경부로부터 국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인정받았다. /사진=SK텔레콤

뉴스워치에서 SK텔레콤의 탄소 저감 노력에 대해 문의한 결과 ‘국내 통신분야 최초 온실가스 감축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 노력’에 대한 답변을 들었다. SK텔레콤은 지난 3월 국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한 1호 사례가 탄생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3세대 이동통신(3G·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와 롱텀에볼루션(LTE·4G) 네트워크 장비 통합 및 업그레이드로 ‘싱글랜 기술’(Single Radio Access Network)을 통한 전력 사용량 절감에 성공, 환경부로부터 국내 통신분야 최초로 온실가스 감축을 인증받았다.

지금까지는 형광등 대신 LED(Light-Emitting Diode· 발광(發光)다이오드)를 사용하거나 태양열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등 에너지원 변경을 통한 전력량 절감 방식이 보편적이었지만 통신기술을 이용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이 환경부 인증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이 개발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은 3G와 LTE 네트워크 장비를 통합 및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기존 대비 전력 사용량을 약 53%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을 2019년부터 적용하기 시작해 2020년에는 서울시를 포함 전국 78개시의 자사 기지국과 중계기에 적용을 모두 완료했다. 

SK텔레콤 홈페이지의 기업 홍보 영상 모습. /캡처=최양수
SK텔레콤 홈페이지의 기업 홍보 영상 모습. /캡처=최양수

작년 말 환경부로부터 온실가스 저감에 따른 탄소배출권 1117t(톤)을 인정받았으며 올해부터는 매년 약 1만t의 탄소배출권을 인정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서울 전력사용량 통계 기준으로 탄소배출권 1만t은 서울 시내 약 76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2020년 환경부에 신규 등록된 온실가스 감축 방법은 총 9건이며 2019년에는 1건도 등록되지 않을 정도로 신규 에너지 절감 방식의 개발 및 인증은 쉽지 않은 과정이다. 

통신 기업 중에는 기존 IDC 서버의 전기 사용량 감축 또는 법인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는 방법 등의 에너지 절감 사례가 있었으나 통신기술과 장비 분야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 이준호 ESG사업담당은 “SK텔레콤은 ICT기술을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과 환경 보호에 더욱 기여하고 앞으로도 ESG 경영을 선도하겠다”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의 2020년 사회적 가치 실현 성과 내역.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의 2020년 사회적 가치 실현 성과 내역.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지난해 ESG 경영에 초점을 맞춘 결과 1조9457억원의 사회적 가치(SV·Social Value)를 창출했다. 이는 2019년 1조8709억원 대비 약 4% 증가한 수치로 2018년 본격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재무적으로 측정한 이후 3년 연속으로 성장세를 기록했다. 

SK그룹의 주요 계열사는 2019년부터 매년 ▲경제 간접기여와 ▲사회·환경 비즈니스 ▲사회공헌 성과 등으로 나눠 사회적 가치를 계량화해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해 삶의 질, 노동, 동반성장, 환경 영역을 포괄하는 ‘비즈니스 사회성과’ 부문에서는 지난해 2579억원의 사회적 가치가 창출됐다. SK텔레콤은 특히 새로운 통신사업을 발굴해 사회적 가치와 연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사회공헌 성과는 513억원으로 전년 대비해 33.9% 늘었다.

경제간접 기여 부문에서는 2019년보다 1.6% 줄어든 1조6582억원으로 평가됐다. 고용 지표는 0.6% 올랐고, 장애인 의무고용률(대기업 3.1%) 목표도 달성했다. 다만 자사주 매입으로 배당 지급대상 주식 수가 줄어들면서 창출 가치가 전년 대비 2.1%(150억원) 줄었다.

특히 환경 영역에서는 SK텔레콤이 지난해 SK그룹 계열사들과 함께 국내 최초로 RE100(Renewable Energy 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에 가입한 것은 환경 경영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로 평가받고 있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나 단체가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캠페인이다. SK텔레콤은 SK그룹의 기조에 따라 2030년까지 RE100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일회용 컵을 줄여 폐플라스틱 감소에 기여하기 위한 ‘해피해빗’도 주목할 만한 SK텔레콤의 프로젝트다. 오는 7월 SKT텔레콤이 해피해빗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하는 ‘에코제주 프로젝트’는 사회적기업 ‘행복커넥트’가 스타벅스 매장에 다회용 컵을 비치해 일회용 컵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제주도 내 스타벅스 전 매장으로 다회용 컵 사용이 확대될 경우 연간 약 500만개의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낼 것으로 추정된다.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SK텔레콤의 에코제주 프로젝트. /사진=SK텔레콤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SK텔레콤의 에코제주 프로젝트. /사진=SK텔레콤

이미 SK텔레콤은 환경경영의 전사적 추진을 강화하기 위해 2009년부터 환경경영 관련 전 사업영역을 대표하는 Green ICT 위원회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Green ICT 위원회는 연중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임원급 관리자가 전사적 관점에서 환경경영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실행 전략을 수립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Green ICT 위원회는 환경경영 관련 주요 이슈 발생 시 SK텔레콤 내 지속가능경영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기업시민위원회에 보고해 이사회가 해당 이슈에 대해 이해하고 의사결정 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SK텔레콤의 환경경영 정책은 고객, 비즈니스 파트너, 주주 및 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행복을 위해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SK텔레콤은 환경 친화적 기업 활동을 영위함으로써 환경 보전 및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람과 환경 중심의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추구하기 위해 환경경영 방침을 제정하고 실행하고 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겸 SK하이닉스 부회장은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친환경 ICT 기술 개발, 사회안전망 강화 기여, 글로벌 선진 거버넌스 체계 확립 등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새로운 ESG 스토리를 써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SK텔레콤 홈페이지의 지속가능경영 환경경영 방침 안내. /캡처=최양수
SK텔레콤 홈페이지의 지속가능경영 환경경영 방침 안내. /캡처=최양수

최양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