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 건설사로선 국내외 경쟁 심화와 해외수주 감소 등으로 힘겹다. 이와 함께, 매년 국정감사 시즌이 되면 건설사들은 사회공헌기금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기에 가시방석에 앉은 듯하다. 

4대강 사업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곤 한다. 예전 한때 일부 호사가들은 건설사들이 4대강 사업을 통해 적지 않은 이익을 남겼으며, 비자금을 조성해 BH에 바쳤다느니 하는 폭로성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하지만 검찰조사 결과 비자금 조성은 실체가 없는 헛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건설사들 입장에서는 억울함을 하소연할 만도 하다. 4대강 공사에서 이득은커녕 손해를 봤기 때문이다. 담합으로 국민혈세를 도둑질해 간 부도덕한 집단으로 매도당하기도 했다. 건설사들은 지금도 비난을 받고 있다. 5년 전 특별사면을 받으면서 국민에게 한 약속을 제대로 실행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이문을 남기기 위해 발주 예정금액에 근접한 금액으로 공사를 수주하려고 애쓰게 마련이다. 경쟁이 붙으면 제 살 깎아먹는 출혈경쟁은 불가피한데, 이걸 피해보고자 편법을 쓴 게 결과적으론 담합 행위가 됐다는 것이다.  

5년 전 특별사면을 받고 사회공헌기금 2000억원 조성을 약속한 건설사들. /이미지=인터넷커뮤니티
5년 전 특별사면을 받고 사회공헌기금 2000억원 조성을 약속한 건설사들. /이미지=인터넷커뮤니티

4대강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사들은 감사원 감사와 공정위, 검찰, 국세청의 전방위 조사로 어려움을 겪었다. 국가 사업에 떼밀리듯 참여했다가 이익은커녕 적자를 보며 설상가상으로 임직원 구속과 처벌, 과징금 납부, 행정제재라는 이중 삼중의 고통을 당해야 했다. 

담합 행위로 인해 건설사들이 받아야 했던 처벌은 무거웠다. 공정위 자료에 따르면, 주요 20개 건설사에 부과된 담합 과징금은 총 1조2338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대형건설사는 그동안 2000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납부해야 했는데, 이는 웬만한 건설사의 한해 영업이익을 넘어서는 금액이다. 다른 두 대형건설사도 1837억원과 1403억원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이들 기업은 광복절 특별사면을 신청해 2015년 8월 모두 사면됐다. 당시 사면에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10대 건설사를 비롯한 74개 건설사는 자정결의대회를 열고 2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기금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마음이 다르다’는 표현이 이들 건설사에 꼭 들어맞는다. 행정제재 위기에서 벗어난 건설사들은 이후 여러 공사를 통해 수익은 늘어난 데 반해 국민과의 약속 이행에는 인색했다. 

대형 건설사들이 특별사면을 받은 뒤 2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기금을 조성하기로 했으나 그동안 117억1000만원을 납부하는 데 그쳤다. 애초 약속한 2000억원 규모에 비하면 납부금액은 5.86% 수준이다. 

특별사면을 받은 74개 건설사 중 기금을 낸 기업은 16개에 그쳤다. 20억원 이상 납부한 기업은 현대건설(21억2000만원), 삼성물산(20억원) 두 곳뿐이다. 

건설사들이 국민과 한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니 그들을 비난할 수밖에 없다. 약속은 지켜야 한다. 

재벌기업 회장님들이 위기 때 여론무마용으로 ‘1조원 기부 약속’을 해놓고 ‘꼼수’를 부리는 것처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때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면피용 약속을 한 것이었다면 지탄을 받아 마땅하다. 

김웅식 기자 newswatch@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