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 /사진=연합뉴스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검찰총장을 향해 “대통령을 향해 독재와 전체주의라고 공격했다”며 “해임안을 제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최근 페이스북에서 “국가의 기강과 헌정질서를 바로잡고 검찰을 바로 세우기 위해 (민주당은) 결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슈 화이터로 나서고 있다.

무엇보다 친문계와 ‘코드 맞추기’에 열심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로 어려움에 봉착한 윤미향 의원을 보호하는 데 적극 앞장서는가 하면, 또 다른 친문 위성정당인 열린민주당과 합당에도 열심이다

[‘친문’ 호위무사 이슈파이터로 ‘코드 맞추기’ 한창]

김 의원이 차기 대권 레이스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자명하다.

노무현-문재인을 잇는 PK 대망론을 이을 주자가 당내 마땅히 없기 때문이다. 여권에서는 ‘경남 남해군’ 출신인 김두관 의원이 사실상 유일한 PK주자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성추행 의혹에 휩싸인 채 스스로 생을 마감했고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자녀 입시비리 등과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각각 재판을 받고 있어 정치적 미래가 불투명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김 의원은 PK(부산, 울산, 경남)에서 ‘PK 대망론’을 실현시킬 대선주자라는 점이 최대 강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민주당의 최대 계파인 친문과 친노의 지지를 모두 받을 수 있는 주자라는 점과 친노, 친문의 본산인 PK 출신이라는 점이 꼽힌다.

사실상 ‘원조 친노’에 ‘친노 부산파’로, 족보로 따지면 문 대통령과 한집안이다. 그런데 정확히 ‘친문계’는 아니다.

독자 노선을 걸으면서 대권을 향한 꿈을 키워온 그다. 김 의원은 2012년 대선 경선에서 당시 문재인 후보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친문 세력과 어긋나기 시작했다.

[원조친노 부산파...2012년 대선이후 독자노선 구축]

그러던 그가 지난 총선에서 문 대통령 사저가 있는 ‘양산을’로 지역구를 바꿔 출마했고, 험지로 변한 그곳에서 승리했다. 친문이 강해진 민주당에서 대권주자가 되려면 친문계의 지지가 절대적이라는 판단이다. 그런 점에서 1차 교두부는 확보한 셈이다.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우기도 했던 김 의원은 노무현 정부에서 초대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낸 바 있다.  또 김 의원은 입지전적인 삶의 ‘스토리’ 덕분에 일찍부터 대선주자감으로 꼽혀왔다.

재야 민주화운동과 농민운동을 벌여온 김 의원의 행정 경험은 1988년 남해군 이어리 이장에서 시작해 1995년 전국 최연소 지방자치단체장인 민선 1기 남해군수로 이어졌다.

이후 2003년 이장 출신으로는 최초로 행정자치부 장관에 임명되면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국회의원 도전에는 88년 13대 총선부터 4번이나 실패하는 시련을 겪었다.

또 김 의원은 2010년 제5회 지방선거 경남도지사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됐지만  2012년 18대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하기 위해 도지사를 중도 사퇴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 지지자들로부터 야권(홍준표 전 경남도지사)에 도지사 자리를 넘겨줬다는 원망을 듣게 됐고, 정치적 입지가 크게 위축됐다.

[고질적인 ‘낮은 인지도’ 중앙무대 진입 ‘관건’]

김두관 의원이 ‘다크호스’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2012년 대선도전부터 이어져온 낮은 대중 인지도를 극복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지적이 나온다.

각종 대선 여론조사에서 김 지사는 1% 전후 지지에 머물고 있다.

선두주자인 문재인 당선자뿐 아니라 손학규 전 대표에도 밀리는 상황이다. 당내 경선이 전 국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와 대의원 투표 등으로 이뤄질 경우 낮은 지지도는 분명히 큰 약점이다.

특히 김 지사가 수도권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도 극복해야 할 과제다. 정치적 이슈에 민감한 수도권에서는 김 지사의 능력을 검증할 기회가 별로 없었다.

수도권 유권자들이 김 지사에게 선뜻 마음의 문을 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쟁후보들이 이를 계속 물고 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당내 정치기반을 확보하는 것도 급선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