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발생한 이후 9일 동안 전 국민 애간장 태워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대규모 산림 ‘잿더미’되고 총 643개소 재산 손실
대형 산불 발생하지 않도록 산불 예방·감시·신고에 적극 동참해야

[뉴스워치= 김민수 기자] 시뻘건 불길을 내뿜으며 동해안 일대 산림을 크게 훼손해 전 국민들이 걱정했던 울진·삼척 산불 주불이 마침내 진화됐다.

지난 4일 발생해 9일 동안 진행된 산불은 진화에 나선지 213시간 만에 꺼졌다. 산불 진화 시간, 피해 면적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역대급 기록으로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큰 상처를 안겼다.

13일 산림청은 경북 울진에서 발생해 강원 삼척까지 확산된 울진·삼척 산불의 주불 진화를 오전 9시부로 선언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잠점 피해지역은 울진군 4개 읍·면, 삼척시 2개 읍·면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재산피해는 주택 319채, 농·축산시설 139개소, 공장·창고 154개소, 종교시설 등 31개소가 소실돼 총 643개소가 피해를 봤다.

특히 산림 피해는 울진 1만 8463ha, 삼척 2460ha 등 모두 2만 923ha으로 이 중 실피해면적은 정밀조사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13일 강원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덕풍계곡 일대에 단비가 내리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13일 강원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 덕풍계곡 일대에 단비가 내리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산불의 피해가 커진 이유는 건조한 날씨와 엄청난 강풍 때문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소방당국은 산불 발생 초기 울진 한울 원전, LNG가스기지 등 국가기간시설과 인구밀집지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시설물과 민가보호에 주력했다.

더욱이 산불이 천년고찰 불영사 인근과 수백년 동안 자란 울진 소광리 금강송 군락지까지 확산되면서 소방당국을 긴장시켰다.

산불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산림청 헬기가 집중배치되고, 지연제(리타던트) 살포, 이동저수조 설치, 수리온 헬기 야간 진화, 특전사·해병대 등 다양한 진화 대책이 강구됐다.

그 결과, 산림 피해는 많이 컸지만, 한울 원전, 삼척 LNG 가스기지 등 국가기간시설과 불영사, 금강송 군락지 등은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았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산불 발생 초기 초속 20m가 넘는 강풍이 불어 저녁 무렵 울진 원전을 지나 강원 삼척 원덕읍까지 급속 확산되면서 불가항력적으로 피해 구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요시설 우선 방어를 위한 진화부터 실시한 후 산림 지역 진화에 나섰지만, 짙은 연무로 산불 현장의 연기가 빠져 나가지 않고 하늘을 뒤덮어 헬기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덧붙였다.

산림청은 주불 진화는 완료됐지만, 피해 구역이 넓어 남아있는 불씨를 완전히 제거하는 데는 많은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12일부터 비가 내리고 있지만, 강수량이 적을 것을 대비해 헬기 20대, 야간 열화상 드론 6대를 대기시키고, 잔불 진화 및 뒷불 감시에 나선 상태다.

정부는 진화대응 단계를 수습·복구 단계로 전환해 피해조사와 피해지역 주민의 조기 생활안정을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먼저 행정안전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앙수습·복구 대책지원본부’로 전환해 주택소실 등에 대한 다각적인 피해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산림청은 ‘산림분야 조사·복구 추진단’을 구성해 신속한 산림 피해조사와 산사태 등 2차 피해방지를 위한 응급복구, 경제림 조림 및 산림생태계 복원계획을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산림청 홈페이지에 게재된 최병암 산림청장./캡처=김민수
산림청 홈페이지에 게재된 최병암 산림청장./캡처=김민수

최병암 산림청장은 “이번 산불로 안타깝게 보금자리를 잃어버린 이재민 여러분, 주택·공장 등 크고 작은 피해를 입으신 모든 분들께 산림청장으로서 죄송하다는 말씀과 함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고 전했다.

그는 “주거나 영농지원 등이 신속히 이루어져 빨리 정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정부, 지방정부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산림청은 ‘대형 산불 특별대책기간’을 다음달 17일까지로 설정했다. 봄철에는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아주 작은 불씨라도 이번 사태처럼 대형 산불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담뱃불을 함부로 버려서는 안 되고, 산림 주변에서는 취사를 비롯한 불을 피위는 행위를 금지해야 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한 순간의 실수로 소중한 숲이 사라지지 않도록 국민 모두가 산불 예방·감시·신고에 동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민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