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칼럼]  9월 정기국회가 시작되었고 조만간 연중 국회 최대 일정인 국정감사가 시작된다. 말도 많은 제2차 긴급재난 지원금을 위한 추경처리도 시간을 다투고 있다. 산적한 미처리 법안과 개혁과제 그리고 각종 정책입안 등 해야 할 일들이 쌓여있다.

7일 또다시 국회 출입 중인 한 통신사 기자가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고 국회가 ‘셨 다운’ 됐다. 지난달 26일 출입 기자가 확진된 이후 이번 달 3일에는 국민의 힘 당직자에 이어 확진자가 세 번째이고 이로 인해 국회가 문을 닫고 비상체제에 들어간 것도 지난 2월 달 이후 벌써 네 번째이다.

이번 확진 기자는 안타깝게도 26일 확진된 기자와 같이 민주당 최고위를 취재했지만, 당시엔 음성 판정을 받고 취재 활동 중 잠복기를 지나 다시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와 한정애 정책위의장도 코로나 검사를 받고 자가 격리에 들어 갔다. 이낙연 대표는 벌써 격리횟수만 다섯 번째에 이른다고 한다. 코로나의 위험이 새삼 두렵고 참 생활하고 활동하기가 힘들다는 탄식이 절로 나올 법 하다.

국회는 단지 국회의원과 보좌진들만이 상주하는 곳이 아니다. 이곳엔 국회 사무처를 비롯하여 299명의 보좌진 그리고 수백 명의 기자들이 기본적으로 매일같이 출근하고 일상활동을 해나가는 곳이다. 더구나 전국에서 찾아오는 수많은 민원인과 방문객 관련 종사자까지 그야말로 ‘거대한 정치시장’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한번 ‘셧다운’ 될 때마다 국회의 수많은 업무와 각 정당, 의원, 보좌진들의 활동과 업무는 큰 차질을 빚게 마련이다. 국회 출입은 그 어떤 기관보다도 철저한 경비와 출입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그럼에도 한곳에서 이렇게 확진자가 세명에 셧다운만 네 번째인 이유는 뭘까.

무엇보다 엄격한 관리체계에도 불구하고 정치인들과 기자, 그리고 보좌진들의 활동 범위와 접촉 대상은 사실 대부분 국회 내 몇몇 장소에서 이뤄 진다. 각당 회의실과 기자실, 의원실을 비롯한 부대시설 등 매우 제한적이다. 마스크 착용과 위생처리에도 불구하고 직접접촉 대상은 제한적이지만 ‘감염 위험성’은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이다.

‘언텍트’, ‘비대면 시대’이다. 국회가 스톱 되면 그만큼 손실과 어려움은 국민과 관련 기관,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그 어떤 정부나 국가 기관보다도 엄격하고 철저한 비대면 시스템이 시급하게 구비 되고 정착되어야 할 곳이 국회다.

최소한 정기국회가 종료될 때까지라도 국회가 최우선으로 대책을 수립해야 할 분야가 ‘비대면 국회, 정치 활동’이다.

언론 역시 취재영역과 활동을 보장하면서도 당분간 ‘기술적인 방안’ 도입도 검토해볼 만하다. 지금도 일부 운영 중이지만, ‘취재 기자단 풀 제’를 통해 코로나 위험도롤 최소화 해야 할 것이다.

정당, 국회의원의 활동과 언론과의 비대면 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하여 다소 불편하더라도 국민 불안과 국가와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 해야 할 때다.

◇박동규 前 청와대 행정관
◇독립기념관  前 사무처장
◇ 現 한반도 미래전략 연구소 대표

 

※ 외부인사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