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김정민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24일 오후 대국민사과와 함께 혁신안을 발표한다. 대기업의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을 주도한 혐의로 해체 압박을 받아왔던 전경련이 결국 혁신안을 발표하는 것이다.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을 주도했다는 혐의가 불거지면서 그동안 해체 압박이 강했다. 삼성전자를 필두로 해서 현대차, SK, LG 등 대기업이 탈퇴를 하면서 전경련이 휘청거렸다.

전경련은 ‘산업의 영웅’에서 이제는 ‘찬밥덩어리’가 됐다.

전경련은 5.16 쿠데타 이후 ‘경제재건 촉진회’를 기반으로 했다. 쿠데타 직후 경제인들이 부정축재자 처벌을 피해 발족한 단체가 ‘경제재건 촉진회’였다. 그후 故(고) 삼성 이병철 회장이 주도로 전경련이 발족됐다.

전경련은 외국자본 유치·수출자유지역 조성 등을 정부에 건의했고, 대규모 국책사업에 전경련 소속 기업이 참여하면서 조정자 역할을 해왔다. 때문에 비록 민간단체이지만 산업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전경련은 그동안 대기업의 이익을 철저하게 대변을 해왔다고 볼 수 있다. 군사정부 시절부터 시작해서 정경유착이라는 비난을 받아왔지만 어쨌든 대기업의 이익을 철저하게 대변해왔다. 그러다보니 산업발전의 선봉장에서 그 기여한 바가 상당히 컸다.

군사정부 시절에는 대규모 국책 사업에 대기업이 참여할 때 조정자 역할을 하면서 회원사의 이익을 철저하게 대변해왔다.

문제는 군사정부가 종식된 이후 공정거래가 화두가 되면서 이런 조정자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됐다. 조정자 역할을 하는 것 자체가 불법인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또한 군사정부 이후 대규모 외국 자본 유치 등이 사라지면서 전경련의 활동 역시 위축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대기업이 굳이 전경련을 통해서 자신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만한 것은 점차 축소됐다.

물론 법인세 인상 반대 등 대기업의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대기업에 직접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시대는 사라졌다.

그러다보니 전경련은 점차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대기업의 목소리를 대변해주는 대변자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이는 결국 정경유착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밖에 없었다.

전경련으로서는 대기업의 목소리를 정부에게 전달해주는 창구 역할을 하면서도 정부의 목소리를 대기업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됐다.

과거 군사정부 시절처럼 정부로부터 직접적인 혜택은 없어졌지만 어쨌든 대기업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대기업으로서는 전경련의 존재 자체가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대기업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는 것이 아니라 정부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시작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2010~2011년 회장이 공석이면서 사업 내용은 부실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경련이 참여정부 시절부터 이명박 정부 시절까지는 대기업 계열사 출자총액 및 순환출자 제한을 핵심으로 하는 공정거래법 개정 반대 등 대기업의 이익을 철저하게 대변해왔다.

하지만 2011년 이후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고 오히려 정부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지적을 받아오고 있다.

2013년 사업보고서를 보면 ‘창조경제’가 1순위 과제로 올랐다. 1순위 과제라고 하면 주로 대기업과 관련된 1순위 과제가 돼야 하는데 박근혜정부의 경제정책이 1순위 과제로 올랐다는 것은 전경련이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해주기 보다는 정부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단체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1순위 과제를 순환출자금지 폐지 등을 걸었다면 대기업 이익을 대변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창조경제’를 1순위로 올리면서 사실상 정부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단체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올해 초 ‘어버이연합’ 논란과 하반기에는 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설립 논란이 불거지면서 전경련 해체 여론이 들끓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전경련이 회원사 사비로 운영되는 단체이다 보니 안을 들여다볼 방도가 없으면서 전경련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게 됐다.

급기야 지난해 12월 6일 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국정조사 청문회에 참석한 대기업 총수 중 상당수가 전경련 탈퇴를 선언하면서 창립 55주년을 맞이한 전경련이 해체 수순을 밟게 됐다.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은 전경련 탈퇴 의사를 밝혔다.

그리고 결국 대기업들이 줄줄이 탈퇴를 하면서 전경련의 미래는 암울하기 그지 없었다. 게다가 후임 회장을 찾지 못해서 한동안 후임 회장이 누가 될 것인가에 대한 이슈가 뜨거웠다.

일각에서는 CJ 손경식 회장이 전경련 회장이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결국 허창수 GS그룹 회장이 유임됐다.

그리고 이날 혁신안을 내놓게 된 것이다. 혁신안에는 전경련 해체에 버금가는 강도 높은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여진다. 허창수 회장이 유임되면서 허창수 회장을 중심으로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이웅열 코오롱 회장 등 내부 인사 3명과 윤증현·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김기영 전 광운대 총장 등 외부인사 3명 등으로 구성된 전경련 혁신위원회가 꾸려졌고, 활동을 해왔다. 그리고 이날 혁신안이 발표가 되는 것이다.

전경련이 만약 해체 수준의 혁신안이 나오게 된다면 향후 재계를 대표하는 단체는 아무래도 대한상공회의소 등으로 무게추가 옮겨지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전경련은 친목 단체 수준으로 머물 것으로 보여진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