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픽사베이

[뉴스워치=어기선 기자] 롯데그룹이 성주골프장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부지로 교환계약을 체결한 후 중국의 보복이 현실화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의 보복이 주로 경제적 보복이며 한국상품 불매운동 등과 같은 치졸한(?) 방법을 사용하면서 국제적인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장 현실화된 것은 롯데그룹에 대한 공격이다. 롯데면세점이 디도스 공격을 받은데 이어 제품 통관 불허 중국 현지 매장 앞 ‘피켓시위’ 등 불매운동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중국 대형 온라인쇼핑몰 징동닷컴이 자사 사이트에서 롯데마트관을 폐쇄했다. 폐쇄한 특별한 사유가 없이 폐쇄를 한 것이다.

지난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산둥성 칭다오 검험검역국은 최근 한국에서 수입된 롯데 요구르트 맛 사탕 300박스(600kg)에서 금지된 첨가제가 적발됐다면서 소각 조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중국 내에서 롯데를 겨냥한 사드 보복이 자행된 가운데 나온 통관 불허 조치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롯데그룹 뿐만 아니라 다른 대기업들도 불똥이 튈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23년간 중국 사업을 키워온 이랜드는 사드와 관련된 중국 내 반한 감정 때문에 최근 현지 소비자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도 중국의 전기차배터리 인증 기준을 맞추지 못해 중국 사업 전략 재검토에 나선 상황이다. 삼성과 현대차 역시 마찬가지로 예의주시하고 있다.

물론 삼성이나 현대차는 직접적인 불매운동과 같은 영업에 지장을 줄만한 가시적인 움직임은 없다. 하지만 험한류 바람을 타게 된다면 삼성이나 현대차가 중국에서 영업을 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라는 진단도 나오고 있다.

항공업계 역시 중국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올해부터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등 국내 항공사들의 부정기 항공편(전세기) 운항 신청을 모두 불허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중국이 한국의 민간기업에 보복조치를 취하는 것에 대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정치권에서도 중국의 치졸한 보복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제는 이와 관련해서 우리 정부의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민간기업이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