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청와대

[뉴스워치=김도형 기자] 올해 대선이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심판 절차로 인해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올해 대선과 유사한 대선 상황을 찾기 위한 정치권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올해 대선은 4당 체제에서 벌어지고 있으며, 야권 후보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적 셈법이 복잡해지면서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치권은 과거 대선의 유사 사례를 살펴보면서 올해 대선의 결과를 예측하는 분위기다.

우선 87년 대선 상황과 유사하다는 목소리가 있다. 87년 당시 보수 진영은 노태우·김종필 후보로 갈려졌고, 진보 진영은 김영삼·김종필 후보로 갈려졌다. 결국 야권이 분열되면서 노태우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이 됐다.

그런데 올해 대선에서는 4당 체제로 치러지게 됐다. 마찬가지로 올해 대선에서도 야권이 분열되면서 혹여 여권 후보가 승리를 거두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찮다. 올해 대선은 87년 대선과 달리 진보 진영의 우세가 강하다. 또한 87년 대선과 달리 한 특정 후보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때문에 87년 대선과 달리 이번에는 야권이 분열된다고 해도 야권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높다.

물론 변수는 항상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보수대연합과 야권통합론 그리고 제3지대론이다. 보수 진영인 새누리당과 바른정당 사이에서 보수 후보 단일화를 이뤄내자는 것이다. 그것을 통해 보수집결을 이뤄내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새누리당과 바른정당 사이에 감정의 골이 워낙 깊기 때문에 그것을 메우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 다른 변수는 야권통합론이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대선을 앞두고 통합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역시 공동정부론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또 다른 변수는 제3지대론이다. 하지만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중도 사퇴를 하면서 제3지대론이 역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 특히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이 후보 단일화를 이뤄낸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2002년 대선의 가능성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그것은 바로 보수대연합에서 흘러나오는 이야기다. 2002년 당시 민주당은 노무현 후보가 경선에서 대선 주자로 선출됐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 바람을 타고 정몽준 후보가 우세를 보이면서 민주당 내에서는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후단협)이 생겨났고, 결국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가 후보 단일화 과정을 거쳤다. 그 과정에서 결국 노무현 후보가 승리를 하게 됐다.

마찬가지로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이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감정의 골이 깊다고 하지만 결국 대선 승리를 위해서 후보 단일화 과정을 거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는 마치 2002년 민주당의 상황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야기는 2007년 상황과 비슷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다. 그것은 문재인 전 대표 대세론과 맞닿아 있다. 2007년 당시 한나라당 후보로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선출되면서 소위 진보 진영은 지리멸렬해졌다. 결국 정동영 후보로 단일화를 이뤄냈지만 이명박 후보의 대세론으로 인해 500만표라는 격차를 이기지 못하고 진보 진영은 무릎을 꿇어야 했다.

마찬가지로 문재인 전 대표 대세론이 굳어지면서 다른 후보들의 단일화 등등이 이뤄진다고 해도 힘든 싸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과거를 살펴보면 미래를 점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번 대선은 그 어느 대선보다도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띄고 있다. 때문에 섣부른 예단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