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국회

[뉴스워치=김도형 기자] 2017년 정유년 새해가 밝았다. 정유년 새해 정치는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어지러움’이다. 어지러운 난세라고 할 수 있다. 누구 하나 속 시원하게 전망을 내놓을 수도 없을 정도로 안갯속 정국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연말 4당 체제로 전환되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이로 인해 정국은 어지러운 상태다.

헌법재판소는 이 어지러운 난세를 하루라도 빨리 끝내기 위해 탄핵심판 절차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하루라도 빨리 끝내겠다고 신년사에서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 법률대리인단이 지연 전술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헌재는 그런 지연전술에 대해서도 제동을 가했다. 헌재가 일단 빠르게 심리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의 탄핵심판은 생각보다 빨리 결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탄핵이 기각될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박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대해 인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만약 탄핵이 인용되면 조기 대선이 불가피해 보인다. 조기 대선을 치른다는 것은 차기 정부를 하루라도 빨리 구성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권으로서는 조기 대선이 날벼락과 같은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당도 대선주자도 모두 올해 12월에 모든 시계를 맞춰놓고 움직였는데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된다면 이 모든 계획을 엎고 새로운 계획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가장 난감한 쪽은 아무래도 보수세력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보수세력은 새누리당과 개혁보수신당으로 나뉘어 있다. 지난해 연말 탄핵 정국 속에서 새누리당에서 분당한 개혁보수신당이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보수세력이 분당을 하면서 26년 만에 4당 체제로 전환됐다. 보수가 분열한다는 것은 그만큼 올해 대선에서 보수가 위기를 맞이한다고 할 수 있다. 아무래도 새누리당도 대선 주자를 내놓을 것으로 보여진다. 개혁보수신당 역시 대선 주자를 내놓을 것으로 보여진다.

대선 국면에서 새누리당 후보와 개혁보수신당 후보가 후보 단일화를 하지 않는 이상 보수층 유권자들은 분열을 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새누리당 후보와 개혁보수신당 후보가 단일화를 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아직까지는 후보 단일화 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친박과 비박의 감정싸움이 쉽게 봉합될 앙금이 아니게 됐기 때문이다. 물론 정권재창출을 해야 한다는 목표가 생기게 된다면 후보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에는 대선 경선 룰을 갖고 한동한 신경전이 팽팽할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 2015년 연말 10만 온라인 당원 입당 등의 붐이 일어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빠르게 친문 체제로 전환됐다. 때문에 당원투표 비중이 높아진다면 아무래도 문재인 전 대표가 유리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후보들은 당원투표 비중 대신 국민참여 비중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당원투표 비중을 높일 것이냐 국민참여 비중을 높일 것이냐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이 불가피해 보인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전 대표의 거취 문제가 상반기 최대 쟁점 사안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안철수 전 대표는 자신이 국민의당 대선 주자로 선출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호남 세력은 굳이 안철수 전 대표가 아니더라도 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개혁보수신당 등 제3 세력과의 연대 가능성도 언제든지 열려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안철수 전 대표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고 있다. 이런 점을 어떤 식으로 타개해 나갈 것이냐가 안철수 전 대표가 갖고 있는 숙제라고 할 수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귀국 역시 대선의 중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미 사실상 대선 출마를 선언한 상태이기 때문에 반기문 전 총장의 귀국은 국내 정치에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여진다.

문제는 검증 파고를 어떤 식으로 넘어가느냐의 문제가 남이있다. 아울러 정책이나 비전을 아직까지 보여주지 않았기 때문에 제시하는 정책이나 비전에 따라 앞으로 지지율은 크게 요동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또 다른 문제는 개헌 문제이다. 개헌파와 반개헌파로 나뉜 정국은 개헌 문제를 놓고 합종연횡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때문에 개헌 문제가 또 다른 변수로 작동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