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어기선 기자] LG그룹과 KT가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를 선언하면서 전경련은 사실상 해체 수순으로 접어들었다.

올해 상반기 어버이연합 자금 지원 의혹이 불거지면서 전경련 해체 요구 목소리가 본격화됐다. 그리고 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출연에 깊숙이 관여되면서 해체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치권에서도 나왔다.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청문회 때 대기업 총수들이 증인으로 출석하면서 전경련 해체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당시 이재용 삼성 부회장은 전경련에 자금 지원을 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전경련 활동 자체를 하지 않고 탈퇴를 하겠다고 약속을 했다.

이런 가운데 LG그룹과 KT가 처음으로 탈퇴 선언을 하면서 전경련은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게 됐다.

사실 전경련은 청문회 이후 전경련 쇄신안을 내놓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느라 고심했었다. 하지만 전경련 회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쉽지가 않았다. 전경련 회원사들이 특검 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전경련 쇄신안까지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LG그룹과 KT가 탈퇴 선언하면서 다른 회원사들의 탈퇴도 불가피해 보인다. 청문회 때 탈퇴를 하겠다고 예고했던 삼성그룹,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은 아직까지 탈퇴 선언은 하지 않았지만 탈퇴 결심을 번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마저도 탈퇴 선언을 하면 전경련은 사실상 해체를 할 수밖에 없다. 한해 약 400억원의 회비로 전경련이 운영되는데 이중 절반은 4대 그룹이 책임을 진다. 다시 말하면 4대 그룹이 동반 탈퇴를 할 경우 회부 수입 절반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4대 그룹이 탈퇴를 하게 되면 다른 회원사들도 굳이 전경련에 가입할 이유가 없을 것으로 보여지면서 탈퇴 러시가 본격화될 수밖에 없다.

결국 전경련은 해체를 하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싱크탱크’ 수준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여진다. 사실상 전경련의 시대적 역할은 끝났다고 보는 것이 정답이다.

전경련이 해체를 하게 되면 전경련의 역할을 대신해줄 기관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상공회의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경제5단체가 있다. 전경련,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이다. 이들 단체 중 대한상의가 그나마 전경련의 대체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진다.

경제 주요 이슈와 경제계를 대표하는 역할을 대한상의와 전경련이 했기 때문이다. 대한상의가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이 회장을 맡으면서 그 역할과 위상이 상당히 커진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경련이 해체를 하게 되면 대한상의가 전경련의 역할 일부를 맡아서 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전경련이 민간단체인 점을 감안한다면 대한상의는 특별법(대한상공회의소법)에 의해 적용되는 법정단체이기 때문에 전경련에 비해 그 역할을 잘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전경련이 정부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감사를 받지 않았지만 대한상의는 정부기관이기 때문에 감사를 받으며, 의회의 견제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그동안 전경련을 들여다볼 수 없었던 의회가 이제는 대한상의를 통해서 대기업의 정책 등에 대해 들여다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