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체율 1.63%로 전년 대비 0.42%p 증가…9년 만에 최고 수준
대손충담금 적립 등 손실 최소화 모색…“상시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뉴스워치= 박현 기자] 카드업계의 지난해 연체율이 9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오자 자산건전성 유지에 적신호가 켜졌다. 더욱이 이달부터 금융당국이 저신용자에 대한 신용사면 조치까지 내려 카드사마다 리스크 관리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18일 2023년 여신전문금융회사 영업실적을 발표하고 카드사 연체율이 1.63%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1.21%를 기록한 전년 말보다 0.42%p 올랐으며, 1.69%에 달했던 지난 2014년 이후 9년 만에 도달한 최고치다. 해당 연체율은 카드 회원이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을 1개월 이상 연체한 비율을 의미한다.

이 중 카드채권 연체율은 1.73%로 전년 말 대비 0.35%p 증가했다. 카드채권 가운데 신용판매채권 연체율은 0.86%로 같은 기간 대비 0.21%p 올랐으며, 현금서비스나 카드론과 관련한 카드대출채권 연체율은 0.69%p 상승한 3.67%를 기록했다.

카드사별로는 지난해 말 하나카드의 연체율이 1.67%로 전년 말 대비 0.69p 올랐다. 이어 ▲신한카드 1.45% ▲우리카드 1.22% ▲삼성카드 1.2% ▲KB국민카드 1.03% 등을 나타냈다.

이같은 카드사 연체율 증가는 지난해 경기침체 기조 하에 고금리, 고물가 등에 시달리며 대금 결제, 대출 및 할부금 상환 능력이 저하된 카드 회원들이 늘어난 데 따른다. 이 가운데는 영세자영업자, 소상공인 및 걍제적 취약계층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카드업계 전반의 자산건전성 확보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고금리에 따른 조달비용 증가와 가맹점 수수료 인하, 업계 안팎의 상생금융 압력과 함께 연체율 증가도 카드사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얘기다.

더불어 지난해 실적 한파를 딛고 올해 반등을 모색하기 위한 사업 전략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물론 이를 대비해 카드사마다 대손충담금 적립 등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나름의 대책을 마련해놓은 모양새다. 또 현재도 업황이 어렵기는 하지만, 올들어 고금리 추세가 주춤하며 여건이 다소 호전되고 있는 데다 데이터 사업이나 해외 사업 등 신사업으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한 카드업체 관계자는 “연체율 증가세를 면밀히 눈여겨보고 있다”면서도 “아직 크게 우려할 만한 상황이리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카드업계는 금융당국이 이달 12일부터 연체 이력을 지닌 서민·소상공인 약 300만명을 대상으로 개시한 이른바 ‘신용사면’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는 분위기다. 신용사면으로 저신용자들의 연체기록이 삭제되면, 이들 상당수의 카드 이용 빈도나 금액이 늘어나 카드사의 잠재 부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에서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업황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사업 환경이나 여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건전성 리스크 관리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