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완성’ 선정…밸류체인 인프라 구축 중요
전 세계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 규모 2024년 55조원서 향후 600조원 육박 전망
생산‧유통‧소비‧재활용 등 전 과정서 폐기물 감량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 확대

폐플라스틱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폐플라스틱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뉴스워치= 최양수 기자]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이산화탄소(CO₂) 실질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시대에 돌입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가 주요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폐플라스틱 리사이클링(recycling·재활용) 및 새로운 자원을 창출하는 순환경제는 지속가능경영(sustainability management)을 위한 중요한 이슈가 됐다.

19일 국내 석유화학업계(석화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폐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55조원에 이르고, 2050년에는 약 6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맥킨지도 비슷하게 연평균 7.4% 이상 성장세를 이어가며 2050년 폐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약 60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시유전이라는 별칭을 얻은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은 성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각광을 받는 중이다.

폐플라스틱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폐플라스틱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이미 윤석열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120대 국정 과제 중 89번째인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완성’을 통해 대량생산-대량폐기로 이어지는 선형경제를 벗어나, 생산‧유통‧소비‧재활용 등 전 과정에서 폐기물 감량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확대하는 순환경제로 전환을 통해 환경과 경제를 미래형 시스템으로 바꾸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탄소중립 실현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품질 좋은 플라스틱은 재생원료로 의무 사용하고, 복합재질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은 열분해해 원료로 활용-폐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페트) 등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PET 1만톤/년 이상 생산자 등)-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해 석유‧화학원료, 수소(H₂)연료로 재활용 허용, 공공열분해시설 10개소 확충 추진 등 내용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생활 플라스틱 발생량을 지난 2020년 160만톤에서 2025년에 20% 감량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매립과 소각 중심에서 열분해 방식으로 전환(열분해율 2020년 0.9%→2026년 10%)될 것으로 분석했다.

리사이클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리사이클 이미지. 사진=픽사베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물리적이냐 화학적이냐로 나뉜다. 폐플라스틱을 잘게 부숴 다시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물리적 방식은 플라스틱 종류나 불순물 유무 등에 따라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품질이 떨어진다. 화학적 방식은 플라스틱을 고온·고압으로 분해해 원료로 활용하는 기술로, 물리적 방식보다 난이도와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

하지만 이미 많은 기업이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이 블루오션으로 부상하면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앞다퉈 시장 진출을 이어가면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중이다.

SK지오센트릭, LG화학, 롯데케미컬, 한화설루션, SKC, SK케미컬, HD현대오일뱅크, S-OIL(에쓰오일) 등 국내 기업들도 시장 경쟁에 나섰다. 또 관련 기업들도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 기술 연구·개발(R&D·Research and Development)과 사업 확대 및 기술 확보, 양산 체제 구축 등을 통한 시장 선점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정부에서도 순환경제를 촉진하고 있고 CO₂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폐플라스틱 활용을 통한 순환경제 완성이라는 밸류체인(Value Chain·가치사슬)을 이루기 위해선 R&D부터 시범 프로젝트 실행, 상업화 지원 등 폐플라스틱 열분해 사업과 같은 친환경 기술 등 재정적 지원을 제공이 진행돼야 하고, 더불어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와 민간 기업의 노력도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양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