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대기업 여성임원 비율 처음으로 6%대 진입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무대서 여전히 적어
여성 출산·육아 경력단절 등으로 유리천장 두꺼워져

대기업 임원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대기업 임원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최양수 기자] 재계의 여성임원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매출액 상위 국내 100개 기업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임원 중 여성 비중이 올해 처음으로 6%대에 진입했다. 국내 100대 기업 내 여성 임원이 지난해보다 36명(8.9%) 증가한 439명으로 전체(7345명)의 6.0%를 차지했다.

여성 임원 비율은 2019년 3.5%에서 2020년 4.1%, 2021년 4.8%, 지난해 5.6%에 이어 올해까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04년 13명이었던 여성 임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 114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명을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403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400명대에 진입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2025년 전후로 5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가입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다. 한국의 경우 조선, 해운, 철강, 에너지, 기계 등 업종에서는 여성 임원이 없는 기업이 많다.

OECD에서 공개한 국가별 관리직 중 여성 비율을 보면 지난 2021년 기준 한국은 16.3%로 OECD 평균 33.7%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스웨덴은 43.0%, 미국 41.4%, 호주 40.0%, 아일랜드 38.0%, 프랑스 37.8%, 영국 36.8%, 핀란드 36.5%다. 일본(13.2%)과 함께 한국은 단연 최하위권이다. 같은 해 대기업 여성 임원 비율 역시 OECD 평균이 28.0%인데 한국은 8.7%로 압도적 격차로 꼴찌를 기록했다.

기업별로 살펴보면 삼성전자가 여성임원 72명으로 국내 기업 중 1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뒤를 이어 CJ제일제당이 30명이었고 네이버(26명), 현대자동차(21명), 롯데쇼핑(15명), 아모레퍼시픽(14명), LG전자(12명), LG유플러스·미래에셋증권(각 11명), KT·SK·SK텔레콤(각 10명)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대기업 임원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대기업 임원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여성 임원 중 이사회 일원으로 활동하는 사내이사는 8명이었고 대표이사 직함까지 보유한 여성 임원은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1956년생),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1963년생),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1970년생), 최수연 네이버 대표(1981년생) 4명뿐이었다.

무엇이 한국의 여성임원 비율을 떨어뜨리게 만드는 것일까? 여성임원의 유리천장에는 출산, 육아 등에 따른 경단녀(經斷女·경력단절여성)의 부담이 존재한다. 성평등 지표를 임금·고용·정치·경제 측면에서 각각 살펴볼 때 한국은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커도 너무 큰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경우 남여고용평등법 등으로 인해 여성 전체 비율을 일정 부분 맞추는 강제성이 부여되고 있지만 민간기업의 경우 자발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경단녀에게 불이익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를 깨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경력단절 완화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가 민간기업에도 여성들이 경력단절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독려해야 한다. OECD 평균에 맞춘 여성 경제 인구 지원으로 한국 경제의 활력성을 높이게 된다면 미래 성장성까지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환 마그나컨설팅 대표컨설턴트는 “한국은 남성중심적 사회가 아직까지 남아 있으며 여성들은 남성 중심의 조직문화로 인한 편견, 차별, 유리천장 등을 경험하고 임신, 육아 등으로 인한 인력 이탈 현상도 보이고 있다”며 “이는 한국의 신생아 출산율이 0.7명으로 낮아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중요 화두로 부상하면서 여성 직원과 함께 여성 임원은 당분간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법으로 강제하기 어렵겠지만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최양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