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글로벌환경규제·디지털기술 등 ‘3대 환경 변화’ 주목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 사진=하나금융그룹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 사진=하나금융그룹

[뉴스워치= 문다영 기자]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국내 일반산업 환경 분석 및 전망을 내놨다. 

18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2024년 일반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산업은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중국 고성장의 한계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디지털 기술 적응이라는 3대 환경 변화에 노출돼 있다. 이와 관련해 연구소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중장기 변화가 내년 일반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요인별로 다를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 고성장의 한계는 미중 갈등 심화 등으로 인해 글로벌 가치사슬(GVC)을 약화시켜 주요 축으로 활약하는 국내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는 내년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지금부터 대응책을 마련해야 중장기적 대비가 가능하다고 봤다. 디지털 기술 적응에 관해선 중장기 산업 성장을 이끌 핵심요소임에는 틀림없지만 팬데믹 기간 동안 과도한 관심을 받은 영향으로 내년에는 잠시 소강상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중국의 성장둔화에 따른 구매력 약화와 금융 변동성 확대는 전 세계 경제와 산업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에는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핵심 산업 중 석유화학과 해운은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겠지만 자동차는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충분한 전기차(EV) 상품성을 보유한 가운데 미국·인도 등 진출에 걸림돌이 적다는 점, 비교적 양호한 재무투자 여력이 있다는 점에서 중국에 비해 대형시장에서 유리한 입장에 설 것이란 분석이다.

석유화학은 중국의 자체 생산역량 확충에 따른 국내 제품의 수출 감소와 중국제품과 국내 제품 간 역내 경쟁 심화로 2030년 국내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량은 2010년 수준으로 후퇴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가 해상 운송 수요 감소와 운항거리 축소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해운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연구소는 미중 갈등 심화로 태평양 항로의 물동량 감소가 불가피한데 이 항로는 국내 선사들의 의존도가 높아 운임하락에 따른 실적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구소는 환경 이슈에 대해서도 자세히 분석했다. 주요국들이 탄소국경세,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탄소가격제 등을 도입하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봤다. 국내 산업계가 넷제로를 달성하는데 250조~510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돼 환경문제 대응에 따른 산업 지형도 변화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했다.

정유 업계는 우리나라의 석유수요가 2025년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돼 친환경 사업 전환과 같은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진단했으며, 친환경사업에 무게를 두면서 본업인 정유업 비중은 올해 77%에서 2035년에는 45%까지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업계는 환경 이슈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만 하다는 분석이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 2050년까지 탄소 감축목표를 기존 50%에서 100%로 강화하기로 하면서 LNG, 메탄올 추진선과 같은 친환경 선박의 수주 확대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 적응은 모든 산업계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겠지만 연구소는 뿌리산업의 변화 가능성에 주목했다. 뿌리산업이란 제조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주조, 금형, 용접 등 6개 산업을 말한다. 그간 디지털 전환이 더뎠으나 로봇 및 센서 가격의 하락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디지털 기술의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봤다.

건설업계에도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첨단 공법이 도입되면서 효율성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중장기 산업 트랜드를 중심으로 12개 주요 산업에 대한 내년 전망도 제시했다. 내년 국내 산업은 전반적인 회복세가 기대되지만 이차전지, 자동차와 조선을 제외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저효과에 기반한 회복을 보일 것이라는 점에서 드라마틱한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소재·부품 산업군에서는 이차전지 분야가 안정적인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외형 및 수익성 모두 긍정적인 업황이 기대되나 석유화학 분야는 수요위축·고유가·공급과잉의 삼중고로 내년에도 혹독한 침체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했다. 

디지털사업군은 올해보다 완연한 개선이 기대되지만 판매가의 약세 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기저효과 외 DDR5, OLED 등 고가 제품으로의 전환이 실적 개선에 다소 기여할 것으로 예측했다.

운송 분야는 자동차, 조선 모두 양호한 실적을 전망했는데 자동차는 수출시장의 부정적 판매 여건에도 국산차의 상품성 개선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조선업은 친환경 선박 수주와 선박 인도량 증가로 안정적 성장을 이룰 것으로 봤다.

소매 유통업은 소비심리 회복, 상품 수요 개선으로 완만한 회복을 예상했다. 건설업은 정부 주도로 주택건축 부문만이 제한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문다영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