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최근까지 펀드 사태 징계사 및 직원 다수
라임·옵티머스 등 4년 지났지만 제재·보상 마무리 안돼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 관련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징계 절차가 완료된 곳은 금융사 21곳이며, 징계받은 직원은 12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 관련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징계 절차가 완료된 곳은 금융사 21곳이며, 징계받은 직원은 12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문다영 기자] 금융감독원이 재조사를 벌이며 라임·옵티머스 등 펀드 사태가 새 국면을 맞은 가운데 지난 2020년부터 최근까지 펀드 사태로 징계받은 금융사는 21곳, 임직원은 129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사모펀드 사태가 본격화한 지 4년이 흘렀지만 관련 제재조차 마무리되지 않은 곳이 많아 금융당국의 속도조절 지적도 나온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 관련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징계 절차가 완료된 곳은 금융사 21곳(다른 건으로 징계받은 경우 중복 포함)이며, 징계받은 직원은 129명이다.

라임 사태로 인해 라임자산운용은 2020년 기관 등록취소 등 징계와 대표이사 해임요구 등 임직원 7명이 징계를 받았다. 판매사 중에는 2021년 신한금융투자가 업무일부정지 6개월과 과태료 18억원을 부과받았고 임직원 7명이 면직 등 징계를 받았다. 대신증권은 영업점 폐쇄 징계와 함께 임직원 12명이 징계를, KB증권은 업무일부정지 6개월과 과태료 5억5000만원과 함께 임직원 7명이 정직 등 징계를 받았다.

이듬해 신한은행이 업무일부정지 3개월에 과태료 57억1000만원을 부과받았으며, 임직원 10명에 감봉 등 징계가 결정됐다. 우리은행은 업무일부정지 3개월·과태료 57억1000만원에 임직원 4명 징계, 기업은행은 업무일부정지 1개월·과태료 47억1000만원에 임직원 4명 징계, 농협은행은 기관주의·과태료 4억1500만원에 임직원 10명 징계, 부산은행은 기관경고와 함께 임직원 4명 징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임 사태와 관련해 하나은행, 경남은행 등에 대한 제재는 아직 진행 중인 상황이다.

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해서는 2021년 옵티머스자산운용이 인가·등록취소와 대표이사 해임요구 등 임직원 3명의 징계를 받았으며, 이듬해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이 업무일부정지 3개월과 과태료 51억7000만원을 부과받고 임직원 8명 징계가 결정됐다. 하나은행은 업무일부정지 3월과 직원 2명 징계를 받았다.

디스커버리 사태와 관련해서는 운용사가 2022년 업무일부정지 3월과 임원 3명 징계 처분을 받았으며, 하나금융투자(기관경고·과태료와 직원 7명 징계)와 유안타증권(기관경고·과태료와 직원 7명 징계), IBK투자증권(기관경고·과태료와 직원 9명 징계) 등의 징계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투자증권은 팝펀딩 펀드 건으로 기관주의·과태료와 임직원 9명 징계를 받았으며, 플랫폼과 피델리스, 팝펀딩 펀드 등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의 제재가 진행 중이다. 가장 최근의 징계로는 올해 7월 신한은행에 대한 유경 컨시어지 등 펀드 관련 업무일부정지 3개월과 임직원 9명 징계가 마무리된 건이 있다.

올해 8월 기준 금감원의 검사가 끝났지만 관련 징계 절차가 진행 중인 검사 대상 회사도 28개사에 달한다. 이 가운데 23개사의 검사는 검사 종료일 이후 이달 기준으로 1000일이 넘었음에도 아직 제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2019년 시작된 사모펀드 사태가 4년이 지난 현재까지 검사와 수사, 제재 및 보상 어느 하나도 마무리되지 않고 있다"며 "투자자 피해보상이 최우선 과제인 만큼 금융회사의 책임을 묻는 절차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다영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