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끊겨 주택공급 부족 등 일감 많아도 ‘그림의 떡’…551개 종합건설사 도산
​​​​​​​중소사에 일부 대형사도 PF ‘위기경보’…금융권 “PF 확대에 명운 걸기 어려워”

부동산 PF로 인한 건설경기 위축이 극심하다. 건설업계는 주택공급 등 일감은 많지만 PF 공급 중단으로 인해 수주가 불가능하다고 하소연한다. 아파트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부동산 PF로 인한 건설경기 위축이 극심하다. 건설업계는 주택공급 등 일감은 많지만 PF 공급 중단으로 인해 수주가 불가능하다고 하소연한다. 아파트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박현군 기자]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가 건설경기 부양과 주택공급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로 떠올랐다.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일부 대형사를 제외한 건설사 대부분이 PF 가뭄으로 일손을 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설협회가 조사한 국내 건설수주동향에 따르면 국내 건설 수주 총액은 지난 1월 20조5652억원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지난 7월에는 10조151억원까지 떨어졌다.

건설 수주 총액의 하락은 재개발·재건축 등 민간 건설사들의 주택 건설 관련 계약 실적 저조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 수주액은 올해 1월 15조9193억원에서 7월 6조4666억원으로 59.4%나 하락했다.

건설업계의 장기 불황이 수치로 드러난 것으로, 건설업계는 건설 수주 침체의 원인으로 부동산 PF 경색을 지목한다. 한국증권예탁원에 따르면 부동산 PF 발행실적은 지난 5월 20조1725억6000만원에서 7월 16조3996억원까지 하락했다. 이를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10% 이상 감소세를 보였다.

부동산PF 발행이 전년대비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다. 금융사들은 리스크 관리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이로 인해 건설 경기는 급격히 침체되고 있다. 사진=박현군 기자
부동산PF 발행이 전년대비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다. 금융사들은 리스크 관리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이로 인해 건설 경기는 급격히 침체되고 있다. 사진=박현군 기자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중견·중소건설사들의 줄도산이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폐업신고를 한 종합건설사는 지난 24일 기준 551개에 달한다.

최근에는 중소건설사가 아닌 2023년도 기준 시공능력평가 순위 50위권 이내 기업에서도 부동산 PF 위기론이 나오고 있다. 국내 3대 신용평가기관 중 한 곳인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25일 리포트에서 일부 대형건설사들에 대해 “PF 우발채무가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PF 보증채무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현실화되지 않는 채무”라며 “실질적인 재무 리스크는 없다. 금융권에서 단기차입에 성공했다는 것 자체가 신용을 유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반면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지금 건설업 경영환경 악화의 가장 큰 원인은 공사 수주 자체가 어려운 것”이라며 “수주가 어려운 이유는 부동산 PF가 막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주택 공급난 이슈 등을 보면 일감 자체가 부족하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건설사는 공사를 수주해서 완벽하게 시공함으로써 돈을 버는 곳이고, 그 과정에서 부동산 PF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부동산 PF 발행 자체가 줄면서 건설사가 기존 PF 상환이 어려워지고 결국 건설사와 금융사 모두 어려움에 처하는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이 부동산 PF를 과도하게 옥죄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금융권도 부동산 PF 발행에 고민이 많다. 최근 정부의 주택공급대책에서 부동산 PF 지원 확대 방안이 포함된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제2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초 중소증권사의 PF발 위기, 하반기 저축은행의 PF 연체율 증가,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 벌어진 뱅크런 사태 등이 모두 부동산 PF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며 “부동산 PF를 과감하게 집행하기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건설사의 PF 연체율이 늘어나고 있고 정부의 부동산 PF에 대한 대위변제도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금융사의 명운을 걸고 부동산 PF를 확대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박현군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