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효자상품…카카오톡 탁주 선물 243종 등록
막걸리 시장 2015년 면허 확대로 성장 기반 마련

대한민국 막걸리 엑스포에 소개된 막걸리들./사진=연합뉴스
대한민국 막걸리 엑스포에 소개된 막걸리들.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정호 기자] 싼 술, 어른 술의 대명사인 막걸리가 MZ세대 사이에서 다시 한 번 전성기를 맞았다.

장마철로 접어들면서 막걸리 판매량이 절정에 이를 전망이다. 지난 24일 종료된 ‘2023 서울국제주류&와인박람회’를 통해서도 주조 장인들의 다양한 막걸리가 소개됐다. 한 참가업체 관계자는 “최근 막걸리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젊은 층도 많이들 찾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트렌드를 반영하듯 카카오톡 선물하기 탁주 카테고리에 243종의 상품이 등록돼 있다. 사용하는 재료도 전통적인 쌀부터 복분자, 옥수수, 딸기, 블루베리 등으로 다양화됐다. 가격대도 8000원부터 10만원 대로 천차만별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막걸리는 국내뿐 아니라 일본에서 열풍을 일으켰다. 수출량이 2008년 442만 달러에서 2010년대 초반 630만 달러로 급성장하며 수출 효자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 인기는 전 세계 주류 시장에서 막걸리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막걸리 시장의 성장은 2015년 12월 소규모 주류 제조 및 판매 면허가 전통주로 확대되면서 본격화했다. 저장 용기만 갖추면 막걸리를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판매 환경 또한 2017년 지역 특산물로 제조됐다면 온라인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개선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국내 막걸리 시장이 2016년 3000억원 대에서 2021년 약 5000억원 대로 성장했다고 밝혔다. BGF리테일의 편의점 CU에 따르면 막걸리 매출 성장세가 2019년 16.7%, 2020년 23.2%, 2021년 36.9%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 20·30 고객 비중이 24%로 전년 대비 약 9.4% 증가했다.

건강과 관련된 트렌드도 막걸리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기존 막걸리는 인공첨가물인 아스파탐 등으로 단맛을 냈다. 아스파탐은 유해성 논란은 있지만 정확한 근거는 찾을 수 없다. 또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막걸리가 늘면서 건강 음료로 알려지게 됐다. 막걸리는 일반 요구르트 대비 3억개 상당의 유산균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막걸리의 전성기는 올해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7일 편의점 이마트24는 비 소식(8~14일)에 맞춰 중부 지역 매출이 전주 대비 45% 증가했다고 밝혔다.

막걸리에 대한 수요 증가는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서도 알수 있다. 백종원과 송가인을 활용한 스타 마케팅도 그 일환이다. 지난해 BGF리테일의 편의점 CU는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양조자 ‘백술도가’가 개발한 ‘백걸리’를 출시했다. 물을 최소한으로 첨가했으며 일반 막걸리보다 높은 14도 도수로 나왔다. 지난 7일에는 트로트 가수 송가인이 자신의 이름을 딴 막걸리를 출시했다.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세븐일레븐이 기획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은사막막걸리 이미지.사진=펄어비스 홈페이지 캡처
검은사막막걸리 이미지.사진=펄어비스 홈페이지 캡처

이색 협업 사례도 찾을 수 있다. 기존 밤맛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등에 이어 그 영역이 게임까지 확대됐다. 펄어비스가 서비스하는 MMORPG 검은사막은 이마트24와 함께 ‘검은사막막걸리’를 선보였다.

최저가형 막걸리가 있다면 한편에서는 100만원을 훌쩍 넘기는 막걸리도 있다. 편의점 CU는 한국쌀가공식품협회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가격을 1000원대로 낮췄다. 반면 해창주조장은 110만원 대 ‘해창막걸리 아폴로’를 선보였다.

막걸리는 서민술의 대명사인 만큼 가격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기획재정부는 물가 인상분에 따라 맥주와 막걸리 가격을 인상하면서 ‘서민을 위한 것’이라는 해명으로 뭇매를 맞은 적이 있다. 막걸리는 2020년부터 과세 체계가 종가세에서 종량세로 바뀌었다.

현재 막걸리는 리터 당 41.7원의 세금이 붙고 있다. 납품 단가가 1000원이든 10만원이든 알코올 도수와 용량이 같다면 세금도 같다. 막걸리 시장 경쟁에 도움이 되는 요소로 볼 수 있다. 다만 물가인상분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면서 세금 제도를 개편할 것으로 보인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 부분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호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