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 소미연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에게 올해 3월은 악몽으로 기억될 만하다. 조현범 회장이 계열사 부당지원과 횡령·배임 혐의로 지난 9일 검찰에 구속됐고, 사흘 뒤인 12일 대전공장 2공장이 전소되는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악재는 계속됐다. 비상경영 체제를 이끌어갈 이수일 대표 또한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지난 17일 소환 조사를 받았다.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상황에서 화재 피해 수습이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을지 재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망은 밝지 않다. 조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참여연대, 민주노총, 민변 등 시민단체들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데다 화재 피해 수습은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환경오염은 물론 헛구역질과 두통 등을 호소하는 지역민들의 건강 악화에 공장 이전 문제까지 불거졌다. 일부 지역민들은 피켓을 들고 거리로 나와 '화재가 또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토로하며 "신탄진을 떠나라"고 촉구했다. 흉흉해진 민심에 한국타이어는 진땀을 빼고 있다.

지금 상황으로 보면, 어디에서도 한국타이어를 옹호하는 목소리는 들을 수 없다. 도리어 자업자득, 위기 상황을 스스로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조 회장의 구속에 따른 오너리스크 발생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2019년 11월에도 하청기업으로부터 납품대가로 총 6억원가량을 받고, 계열사 자금 약 2억원을 빼돌린 혐의로 구속됐다. 혐의는 모두 유죄로 인정돼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처벌받았다. 이후 3년4개월 만에 다시 구속된 것이다. 

현재 검찰이 파악한 조 회장의 횡령·배임액은 200억원대로 알려졌다. 이번에도 유죄로 확정될 경우 재범이라는 점, 회사에 끼친 손해가 크다는 점에서 장기 수감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경영 위기를 초래한 것은 총수라는데 이견이 없다. 여기에 대전공장 화재 사고는 한국타이어의 위기론을 키웠다. 당장 물류 창고에 보관 중이던 타이어 완제품 21만개가 잿더미로 변했다. 소방당국의 화재 원인 조사 및 생산시설 복구에 장기화가 예고되면서 지역민들에 대한 보상과 별개로 피해 규모가 상당할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이번 화재로 한국타이어에 대한 기업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전공장에서만 2006년 2월, 2014년 10월에 이어 세 번째 화재다. 반복된 화재는 그간 재발 방지를 위한 회사 측의 대책 마련이 미흡했던 게 아니냐는 의문을 샀고, 번번이 피해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지역민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게다가 이번엔 사과까지 늦었다. 한국타이어는 화재 발생 3일 만에야 조 회장 대신 이 대표 명의의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분개한 주민들이 한국타이어를 향해 "사태 조치에 관심이 없다"고 비판하는 이유다.

소미연 산업부 부장대우
소미연 산업부 부장대우

물론 한국타이어는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지역민들과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 전담협상팀 구성을 포함해 향후 화재 잔해물 철거에 따른 분진 대책 등 다각도로 방안을 검토 중이다. 보상을 위한 피해 유형 분류 작업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보상 시점은 명시하지 않았다. 공장 가동 중단으로 강제 휴직에 들어간 직원들의 한숨도 여전하다. 안팎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더해지면서 한국타이어의 앞날도 안갯속에 놓였다.

소미연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