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안철수 ‘합당 합의문’ 발표, ‘당명은 국민의힘으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당을 선언한 뒤 합의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홍철호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 이 대표, 안 대표, 최현숙 국민의당 사무총장./연합뉴스[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당을 선언한 뒤 합의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홍철호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 이 대표, 안 대표, 최현숙 국민의당 사무총장./연합뉴스[국회사진기자단]

[뉴스워치= 한수지 기자]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합당을 공식 선언하면서 국민의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당 합당 합의문을 발표했다.

안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선언했던 단일화 정신에 의거하여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고 공동정부의 초석을 놓는 탄생을 위해 다음과 같이 합당 합의를 선언한다”며 “양당은 국민 모두를 위한 정당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안 대표가 낭독한 합의문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당 대 당’ 통합을 추진하고 당명은 국민의힘으로 하기로 합의했다.

양당은 정강정책 태스크포스(TF)를 공동 구성해 새로운 정강·정책을 마련하기로 했으며 민주적인 정당 운영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또 지도부 구성을 포함해 양당간 합의 사항을 실행하기로 했으며 6·1 지방선거 공직자 후보 추천 과정에서 양당의 합의된 기준으로 공정하게 심사하기로 합의했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국위원회에서 양당의 합당을 의결해야 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하는 절차도 필요하겠지만 오늘부로 합당이 기정사실화된 것이라고 봐도 된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국민의당, 화학적 결합 가능할까

양당은 지난해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단일화 합의 후 합당을 추진했었다. 그러나 양당은 당명 등에 대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갈등을 겪으면서 합당은 불발됐다.

이후 20대 대통령 선거 직전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단일화를 합의하며 공동정부 구성과 합당 추진을 약속한 바 있다. 이 같은 합의에 따라 양당은 대선 이후 다시 합당 논의를 시작했고 이날 공식 합당 선언에 이르렀다.

안철수 대표는 지난 2016년 2월 새정치민주연합에서 탈당한 비주류 의원들과 함께 국민의당을 창당했고, 국민의당은 그해 4월에 있었던 20대 총선에서 38석을 획득해 원내 제3당으로 올라섰다. 국민의당은 이후 2018년 2월 바른정당과의 합당으로 바른미래당이 창당되면서 해체됐다.

안 대표는 제21대 총선을 앞둔 2020년 1월 말 바른미래당을 탈당하고 그해 2월 실용적 중도 정당을 표방하는 정당인 국민의당을 창당했다. 안 대표는 2016년 만들었던 국민의당과 같은 이름의 정당을 창당해 21대 총선에 비례대표 후보만 출마시켜 원내 3석을 확보했다.

안 대표가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합당을 공식 선언하면서 그의 제3 정당 실험도 막을 내리게 됐다. 안 대표가 국민의당을 해체시키고 국민의힘에 사실상 흡수되는 길을 택하면서 그가 정치적 기반이 전무한 국민의힘에서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안 대표가 최근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직 고사 입장을 밝히면서 정치권에선 그가 차기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총리직보다는 당권 도전 등을 통해 국민의힘 내 기반 다지기를 선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양당이 합당을 공식 선언했지만 완전하게 화학적 결합을 이룰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준석 대표와 안철수 대표가 정치적 ‘앙숙’ 관계라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양측이 6·1 지방선거 공천과 당직 인선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을 겪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배종찬 인사이트K 연구소장은 YTN에서 안철수 대표의 향후 국민의힘 내 입지에 대해 “그것은 예단하기 힘들다.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상당히 커질 수밖에 없다”며 “지방선거 공직후보자 추천되는 내용이 어떻게 합의됐을까. 이 부분이 매끄럽게 되지 않았다면 또 언제든지 갈등의 불씨는 불거질 수가 있다”고 전망했다.

한수지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