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사설] 지방대학의 위기가 현실로 다가왔다. 그동안 입시철이면 드물게 등장했던 지방대학(2년제, 4년제)이 입학정원 미달사태가 이제는 전국을 뒤덮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대구ㆍ경북권 대학 중 추가모집까지 해서 입학정원 100%를 채운 곳이 한 곳도 없다고 한다.

그래도 추가 모집 결과 80~90%대의 충원율을 기록하면서 타 지역보다 나은 결과라고 하니 벼랑 끝에 내몰린 지방대의 현실을 잘 말해 준다. 지방대 정원 미달 사태는 지난 1995년부터 예견됐지만 올해 대입에서 200명 이상 미달 지방대만 18곳에 달한다. 이들 18개 대학의 미달 인원(6,812명)은 지난해(491명)의 14배 수준이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학령인구 감소를 비롯해 지역경제 부진에 따른 청년 일자리 부족, 인 서울(in Seoul) 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다. 특히 올해의 경우는 코로나19에 따른 외국인 학생 입학 감소 등 이외의 변수도 점칠 수 있다.

하지만 지난해 수능 지원자가 대학 입학 정원보다 적었다는 학령인구 감소는 앞으로 지방대학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 실제 2024년 43만명까지 줄어 들게 되는 학령인구는 2040년 올해 절반인 28만명으로 감소한다는 통계도 있다.

당장 학생 없는 학교에 실망한 신입생들의 자퇴를 걱정해야 하고, 정원 미달이 본격화되면서 국립 지방대마저 벼랑 끝에 섰다. 대학이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속설까지 등장한 지방대의 위기는 원인은 어느정도 드러났지만 해결책은 난망이다.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학령인구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장기적인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같은 해결책 외에 학과를 통폐합해 정원을 줄이고, 교육부의 적극적인 대응, 부실대 퇴출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무엇보다 지방대의 위기를 말하면서 청년 실업 문제가 맨 앞에 나올 수밖에 없다. 대학을 졸업해도 갈 곳이 없는 청년 실업의 현실은 서울 등 수도권보다 지방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지방대의 심각한 취업난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과거에는 신입 사원 채용에 있어 차별과 불이익을 받았다면 이제는 지역경제 침체에 따른 일자리 부족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이 때문에 지방대를 기피하는 현상이 날로 심해지고, 지방대들은 더 큰 위기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결국 일자리 부족은 지역경제의 현안으로 인식해 정부와 지자체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고 지방대 위기와 곧바로 직결되는 만큼 항시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이와 함께 지방대 위기론을 타개할 해결책으로 현재 국립 지방대에서 논의되고 있는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구축을 들 수 있다.

지방대 소멸 위기 국면에서 학생(교수) 교류와 학점 공유를 지역 국립대로 확산하자는 정책이다. 적극적으로 도입해 운영해 볼 만하다.

교육부는 지난 2월 ‘제2차 지방대학 및 자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을 발표했다. 지방대학 입시에서 지역인재 선발 의무화와 기준을 강화하고,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플랫폼을 확대해 지역특화형 공유대학 모델 창출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모집유보 정원제나 학교 건물의 수익사업 허용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학령인구에 맞춰 모집정원을 줄이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도 중요하고 부실대학에 대한 강압적 조치보다 자발적인 해체를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출구 전략을 마련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모집유보 정원제와 수익사업을 허용하면 정원 100명 이하의 미니대학도 만들 수 있고, 남는 건물은 지자체나 특수학교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지방대학의 정원 미달 사태가 마치 지방대의 발전과 가능성을 부정하는 계기가 돼선 안된다. 그동안 지방대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이 중대했던 만큼 정원 미달의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는 노력이 곳곳에서 선행돼야 한다.

일례로 대학생 창업을 기치로 한 도전정신을 비롯 산학협력으로 상징하는 지역업체와의 상생 등 지방대만이 갖는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이같은 기회를 발판으로 대학가의 선순환 구조는 언제든지 만들 수 있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은 지속돼야 하고, 대학은 대학대로 뼈를 깎는 각오로 해법찾기에 집중할 때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