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욕 등 글로벌 5대 증권거래소 차등의결권 도입기업 상장 허용
韓, 제한적 차등의결권 도입추진..."자본시장 경쟁력 위해 허용해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윤영의 기자] 런던·뉴욕·나스닥·독일·도쿄 등 세계 글로벌 5대 증권거래소 모두 차등의결권 도입기업 상장을 허용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차등의결권 도입울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 한국에서는 상법, 한국거래소 상장규정 모두 차등의결권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최근 쿠팡이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결정하자 차등의결권 도입논의가 촉발됐다. 11일(미국시각) 쿠팡의 미국 증시행을 기점으로 차등의결권이 논란이 되면서 관련입법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가 추진 중인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안은 증권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벤처기업만을 대상으로 하고 상장 후 3년 이내에만 차등의결권이 유효하기 때문에 반쪽짜리 제도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경제전문가들은 “차등의결권은 적대적 M&A 등에 맞서 기업의 경영권과 지배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 경영성과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차등의결권 제도는 글로벌 5대 증권시장에서 도입하고 있는 글로벌 스탠다드로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자국기업의 해외 증권시장 상장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이런 가운데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글로벌 증권거래소 및 한국 주식시장의 차등의결권 도입현황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5대 증권시장은 차등의결권을 도입한 기업의 상장을 허용해 적대적 M&A에 대응하고 자국기업의 해외 상장을 방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글로벌 시가총액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차등의결권을 도입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 경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차등의결권을 도입한 기업이 성장성·수익성·안정성 등 모든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5대 증권시장은 모두 차등의결권을 도입한 기업의 상장을 허용했으며 주된 이유는 적대적 M&A에 대응한 기업 경영권 보호 및 자국기업의 해외 증권시장 상장 방지인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증권거래소는 1898년 처음 차등의결권 도입기업의 상장을 허용했으나 많은 기업들이 채택하며 주주에 대한 차별논란이 일자 1940년 차등의결권을 금지했다. 1980년대 적대적 M&A가 성행하고 혁신기업들이 잇따라 나스닥에 상장하며 1994년부터 다시 차등의결권 도입기업의 상장을 허용했다.

나스닥은 구글, 페이스북 등 혁신기업들이 차등의결권을 도입하며 상장했으며 도쿄증권거래소는 단원주 제도를 도입, 차등의결권과 동일한 효과를 얻고 있다. 바이두, 알리바바 등 중국 대표 IT 기업이 잇따라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한 것을 계기로 상해증권거래소에서는 2019년, 홍콩증권거래소에서는 2018년 차등의결권 도입기업의 상장을 허용했다.

차등의결권을 도입한 기업들의 총매출은 54.4%, 고용은 32.3% 증가, 차등의결권 미도입기업의 총매출 증가율(13.3%)과 고용 증가율(14.9%)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차등의결권 도입기업의 R&D투자는 190.8%, 설비투자는 74.0% 증가한 데 반해 미도입기업의 R&D투자 증가율은 49.1%에 그쳤으며 설비투자는 0.7% 감소했다.

차등의결권 도입기업은 당기순이익(75.9%), 영업이익(65.6%) 모두 미도입기업(당기순이익 21.0%, 영업이익 15.9%)보다 크게 증가해 수익성 측면에서 뛰어났다.

도입기업들의 자본은 75.6% 증가한 반면 부채비율은 89.0%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미도입기업들의 자본은 21.4% 증가에 그치고 부채비율은 6.9% 증가, 안정성 또한 미도입 기업보다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차등의결권 도입기업들은 배당금 규모, 희석주당이익도 큰 폭으로 늘어 주주이익을 실현에도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성향 또한 도입기업이 14.9% 증가한 반면 미도입기업은 6.3% 감소했다.

이와 관련,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자본시장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자칫하면 국내 유수기업들이 잇따라 해외에 직상장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며 “차등의결권제를 전면 허용해 개별기업의 경영권을 보호하고 더 나아가서는 자본시장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영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