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I, ‘경축순환농업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통해 밝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윤영의 기자] 최근 지속가능 농업에 대한 하나의 수단으로 소규모농가 중심으로 한 자급 형태 ‘경축순환농업’이 부각되고 있지만 자원화업체 운영난과 자원화된 비료에 대한 수요 부족, 민원 발생 등으로 활성화되지 못해 이에 따른 개선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축순환농업은 농식품부산물과 가축분뇨를 자원화해 사료와 비료로 활용함으로써 농업 환경을 보존하고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등 현실적인 농업으로 제시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연구진이 우수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경축순환농업의 경제적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토질·수질·대기질 개선 등 환경적 편익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중앙정부에서 추진한 관련 사업을 검토하고 자원화업체 및 전문가 설문을 통해 실태를 파악한 결과 경축순환농업을 저해하는 요인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농촌경제연구원이 경축순환농업 관련 사업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가축분뇨처리 지원사업에서는 자원화업체의 높은 운영비, 가축분뇨 퇴·액비 수요 부족 등이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

광역친환경농업 단지사업에서는 지역 내 친환경 경종 및 친환경 축산 생산 규모 차이, 지역 농업인의 낮은 관심도로 인해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산지생태축산농장 조성사업의 경우 초지 조성 및 관리에 대한 농장 비용부담이 높고 과다 방목 시 환경오염과 산림 훼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관련 전문가 대상 설문 결과 경축순환농업 주요 저해 요인으로 가축분뇨 퇴·액비화의 경제적 요인(18.2%), 농식품부산물 사료화의 경제적 요인(16.1%), 국내산 조사료 생산 및 이용의 경제적 요인(16.1%), 가축분뇨 퇴·액비화의 사회적 요인(14.7%)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KREI 연구책임자인 정학균 연구위원은 “경축순환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저해 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법, 제도·경제·기술·사회적 측면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해야 한다”며 “가축분뇨 및 농식품부산물 자원화를 위한 인프라 확대와 자원화 시설의 높은 운영비를 고려해 우수 운영사례에 대해 인센티브 등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윤영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