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등 2건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사진=문화재청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사진=문화재청

[뉴스워치= 윤영의 기자]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이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1500여년 전 한국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5~6세기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둘 다 각각 한 쌍으로 출토된 이들 금동신발들은 모두 백제 5세기에 제작됐다. 삼국 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다. 그동안 삼국 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까지 마한 백제권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공주 무령왕릉을 비롯해 화성 요리, 원주 법천리, 공주 송산리, 공주 수촌리 등지에서 출토된 총 19점이 알려져 있다.

금동신발은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는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사례가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전북 고창 봉덕리에 위치한 4기 대형 분구묘(분구를 조성한 다음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양식) 중 규모가 가장 큰 1호분 제4호 석실에서 지난 2009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 문화연구소가 발굴했다.

4호 석실은 전혀 도굴되지 않은 무덤으로 여기에서 금동신발 한 쌍이 무덤 주인공의 양쪽 발에 신겨져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출토됐다.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장례 때 의례용으로 사용된 신발로 백제 시대 전형적인 형태와 문양을 보여주는 금속공예품이다.

금동신발 전체 형태를 보면 발목깃을 갖춰 앞쪽은 뾰족하면서 약간 위로 들렸으며 중간 바닥이 편평하다. 뒤쪽은 약간 좁아져 둥근 편이어서 흡사 배 모양을 연상케 한다.

투각(透刻)의 육각형으로 구획된 형태 안에 용, 인면조신(사람얼굴에 새 몸통을 가진 상상의 동물), 쌍조문(雙鳥文), 괴수(怪獸), 연꽃 등 각종 문양이 화려하게 장식됐다. 신발 바닥에는 1.7㎝ 높이의 뾰족한 못 18개를 규칙적으로 붙였으며 내부에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한 것이 특징이다.

고창 봉덕리 1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약 19점의 금동신발 중 가장 완벽한 형태다.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과 비교했을 때 어자무늬(물고기 알 문양) 등 삼국 시대 초기 문양이 확인돼 시기적으로 앞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무령왕릉의 왕과 왕비 신발과 마찬가지로 바닥판과 좌우측판, 발목깃판으로 구성되고 바닥에 징(스파이크)를 박은 백제 금동신발의 전형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백제 중앙 권력자가 제작해 왕의 힘을 과시하고 지방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해 지방 유력 지배층에게 내려준 ‘위세품(威勢品)’으로 추정된다.

정촌고분 1호 석실 제3목관에서 발견된 금동신발은 좌우 신발 한 쌍이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완벽한 모습으로 출토됐다. 특히 발등 부분에 부착된 용머리 장식은 현존 삼국시대 금동신발 중 유일한 사례로 주목을 받아 왔다. 최근에는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수행한 과학적 분석 결과 신발의 주인공이 40대 여성으로 추정되기도 했다.

이 금동신발은 형태와 제작기법, 문양 등에서 고창 봉덕리 출토 금동신발과 매우 유사하다. 얇은 금동판 4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깃판을 만들어 서로 작은 못으로 연결했다. 문양을 투각해 세부를 선으로 묘사한 방식 등 고대 금속공예 기법이 잘 반영돼 있다.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고창 봉덕리 금동신발에 비해 조금 늦은 5세기 후반 경 제작돼 6세기 무령왕릉 출토 금동신발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공예품으로 5~6세기 백제 사상과 미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작품이란 분석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2종은 국내 최초 원형 그대로 발굴된 유물이라는 점에서 고고학과 역사적으로 의미가 크다”며 “같은 시기 중국이나 고구려, 신라 미술품과 비교해 문양 기원과 변천,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 백제 공예문화 독자성을 밝힐 수 있는 원천유물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 또한 매우 높다고 평가된다”고 밝혔다.

윤영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