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 제조혁신으로 리쇼어링 촉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 윤영의 기자]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 기업들이 제조 공정을 스마트화·고부가 가치화와 해외 생산기지 본국 이전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제조 혁신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유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기업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리쇼어링으로 인한 자국 일자리 창출효과 역시 큰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제조 혁신이 리쇼어링의 밑거름이 되도록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다각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유턴 기업들에 대한 세금감면, 고용보조금 지원 외에도 ICT 기술을 활용한 기업의 제조공정 혁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8일 발표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제조업 기술혁신과 리쇼어링’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제조업 혁신과 생산비용 절감을 가져오면서 기업들이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기지를 다시 본국으로 이전하는 리쇼어링이 확대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이같은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리쇼어링 기업이 2010년 95개에 불과했으나 2018년 886개로 크게 늘어났다. 유럽 역시 2016~2018년 간 193개 기업이 리쇼어링을 택했다. 일본은 2006년 이후 2018년까지 7633개 기업이 해외에서 돌아왔다.

리쇼어링이 활발하게 일어난 미국, 독일, 일본 등은 공통적으로 기술 혁신 관련 지표에서 상위 30위 이내에 속해있는 선진 제조강국으로 확인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비중은 세계 순위 기준 일본 5위, 독일 7위, 미국 9위였고 전체 특허 대비 고위기술의 비중도 일본 4위, 미국 5위, 독일 21위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제조 기술혁신이 리쇼어링을 촉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기업의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리쇼어링으로 인한 자국 일자리 창출효과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9년 간 미국에서 리쇼어링으로 창출된 전체 일자리 중 고위·중고위 기술군 일자리는 67%에 달했다.

한편 한국의 GDP 대비 R&D 비중은 세계 2위, 고위기술 제조 수출 비중은 6위, 고위기술 특허 비중은 3위, 정보통신(ICT)산업 발전지수는 2위로 제조업 혁신 정도가 주요국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국내 리쇼어링 기업 수는 2019년 이후 증가세가 주춤하고 있다. 해외 생산기지에서 최종재 생산을 하기 위한 중간재 수출도 2011년 이후 큰 폭으로 확대되는 등 리쇼어링 성과가 주요국에 비해 미흡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강내영 무협 수석연구원은 “성공적인 제조공정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제조업 생태계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패러다임 전환도 수반돼야 한다”면서 “정부 및 기업 차원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고급인력 양성, 산·학·연 합동을 통한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지원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영의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