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연장 ‘리스크’
사모펀드 천문학적 액수 반환해야
한국판 뉴딜펀드 후순위 대출 참여가능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2차 '코로나 대출' 첫날인  5월18일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가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2차 '코로나 대출' 첫날인  5월18일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가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로 정부가 금융권에 대출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연장했다.

최근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 배상 문제까지 겹쳐 금융업계의 불확실성이 고조됐다. 또 다음달 발표될 ‘한국판 뉴딜펀드’에 국내 은행들이 후순위 대출로 참여할 가능성도 대두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행됐던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상 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정부가 6개월 연장하면서 은행으로서는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당초 9월말까지 시행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국면으로 넘어가자 27일 연장 결정됐다.  

기준 은행권 대출 만기 연장은 51조3180억원(17만8168건), 이자 상환 유예는 391억원(3480건) 실행됐다. 이자 상환 유예 신청 건수와 금액은 크지 않으나 코로나 발 경기불황이 이어지면 은행권에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최근 하나·우리은행 등 금융회사가 라임 무역금융펀드에 대해 원금을 반환하라는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안을 수용하기로 해 하반기 경영환경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환매 중단된 사모펀드의 은행 판매액은 모두 1조2797억원에 달한다. 우리은행이 5021억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이 3580억원, 하나은행 2344억원, 기업은행 1230억원 등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판 뉴딜펀드’도 은행권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조성 규모나 방식에 대해 발표되지 않았지만 ‘후순위 대출’로 뉴딜펀드에 은행권이 참여할 가능성이 많다. 

금융권에선 정부가 한국판 뉴딜펀드에 은행이나 정책금융기관 자금을 후순위대출로 둬 개인 투자 손실을 흡수하겠다는 전략을 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