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26일 강원 춘천시 세종호텔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최고위원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이낙연(왼쪽부터), 김부겸, 박주민 당대표 후보가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 7월26일 강원 춘천시 세종호텔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최고위원 후보 합동연설회에서 이낙연(왼쪽부터), 김부겸, 박주민 당대표 후보가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행정수도 이전 카드를 들고 나왔다. 부동산 정책 실패로 민심이 싸늘해지고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권여당 지지율이 추락하면서다.

특히 박원순.오거돈 서울.부산 재보선이 내년 4월 개최되면서 ‘여권 심판론’을 희석하고 오는 2022년 대선을 승리로 이끌기 위한 포석인 셈이다.

핵심은 ‘호남 + 충청’으로 정권 재창출을 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1997년 대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는 ‘뉴 DJ 플랜’의 하나로 영남을 배제하고 내각제를 매개로 호남(DJ)과 충청(김종필·JP)을 묶어내는 ‘DJP 연합’을 성사시켜 승리했다.

역시 최대 승부처는 충청 지역이었다. DJ는 이 지역에서 43.9%(약 108만 표)를 획득해 27.4%(약 68만 표)를 득표한 이 후보를 무려 16.5%P(40만8319 표) 차이로 크게 이겼다.

[호남+충청 묶어 정권 재창출, 어게인 2002년 대선]

2002년 대선에서도 충청의 힘이 발휘됐다. 집권당인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2002년 9월 30일 대선 공약으로 ‘행정수도 충청 이전’을 발표했다. 이 공약은 대선 이슈를 선점하는 동시에 정책을 통해 자신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 취약 지역인 충청 지지를 끌어냈다.

당선 이후 노 전 대통령은 이듬해 11월 신행정수도건설 국정과제에서 “(충청권) 신행정수도 건설을 주제로 내가 지난 대선에서 좀 재미를 봤다”고 말하기도 했다.

행정수도 이전 공약이 전통적인 스윙보트(swing vote·뚜렷한 지지성향이 없어 투표 결과가 자주 바뀌는 것) 지역으로 꼽히는 충청권의 표심이 당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인정한 셈이다.

최근 통계청 조사를 보면 올해 6월 현재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호남(광주+전남+전북)은 512만여명, 충청(대전+세종+충남+충북)은 552만여명이다. 대전 인구는 147만여명으로 광주 인구 145만여명보다 더 많다.

영남과 호남이 양분해온 정치 지형도는 이미 변화하고 있다. 역대 선거에서 충청 민심은 대선 판도를 결정했다.

이처럼 민주당이 수도이전 문제를 다시 불을 지핀 것은 당연히 2022년 정권재창출을 위해서다. 김태년 원내대표는 “청와대, 국회, 정부 부처가 모두 세종특별자치시로 내려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도권 과밀 억제를 해소하면 국가 균형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으로, 당내 행정수도완성추진 TF를 구성하기도 했다.

[文 대통령 한국판 뉴딜사업...노 대통령 정치철학 ‘계승’]

또한 행정수도 이전 이슈는 문재인 대통령이 공을 들이는 한국판 뉴딜 사업과도 무관하지 않다.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은 노무현 대통령의 핵심 정치철학이었다. 참여정부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냈던 문 대통령 역시 이러한 철학을 계승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미래통합당은 ‘정치적 꼼수’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최근 부동산 문제로 궁지에 몰린 데 따른 임시방편이자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둔 정치적 계산이라는 지적이다.

하지만 2002년 대선 때 여권의 행정수도 이전 공약에 반대했다가 낭패를 본 바 있어 딜레마에 처해 있다.

이에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여당이 내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행정수도 이전 재추진을 공약으로 내걸라”고 역제안했고 충청출신 정진석 의원처럼 “세종 메가시티를 만들자”고 더 적극적인 제안을 하고 있다.

[딜레마에 처한 통합당, 2022년 대선은 다르다?]

결국 민주당이 또 다시 행정수도 이슈화에 성공하면, 전통적인 텃밭인 호남에다 충청표를 합해 2022년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에 오를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