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전수용 기자] 우리 사회가 빠르게 ‘다문화’ 시대로 들어서고 있다. 단일민족 단일혈통 국가라는 이미지는 이제 벗어나야 한다. 다문화가족이 이제 80만 명이 넘어서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 의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다문화가족 숫자가 82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 2007년 다문화가족 숫자는 33만 명이었지만 2012년 70만 명을 돌파했다. 그런데 3년 만에 10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이는 빠른 속도라고 할 수 있다. 올해 기준으로 한국인과 결혼하거나 결혼했으나 한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결혼이민자’는 14만7382명이다. 또 한국인과 결혼 후 귀화한 ‘혼인 귀화자’는 9만2316명, 인지·귀화 등으로 한국국적을 취득한 ‘기타사유 국적취득자’는 6만5748명으로 집계됐다.

우리 사회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인식은 아직도 변화하지 않고 있다. ‘단일민족’을 고수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에 대해 멸시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하다 보니 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배우자가 다른 나라의 풍습과 교육에 익숙했던 사람이기 때문에 자녀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다문화가정의 가장 큰 문제는 ‘언어’와 ‘풍습’이다. 적게는 스무해 동안 다른나라의 언어와 풍습을 익혔던 배우자가 어느 날부터 갑자기 한국으로 와서 한국말과 한국풍습을 익혀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대화가 이뤄지지 못하고 풍습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하면서 부부싸움이 잦게 되고, 그로 인해 폭력사태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잦은 가출과 이혼 등 후폭풍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일부 지역에서는 아예 한국에 오기 전에 살았던 나라 사람들끼리 모여서 폭력조직까지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그 폭력조직을 통해 온갖 불법적인 행위도 이뤄지고 있다.

분명한 것은 다문화가정의 숫자는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다문화가정과 연결되는 갖은 문제점은 계속 도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부터라도 국가와 사회가 다문화가정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깊게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 됐다. 다문화가정이 올바른 방향으로 빠르게 안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가 나서야 한다.

다문화가정이 우리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적응정책을 넘어 우리 사회의 관용을 키우기 위한 정부와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