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수는 늘어나는데 대기업비중 1%대로 감소...기업의 성장의지 낮아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윤영의 기자] 국내 기업의 ‘기업가정신지수’가 2010년대 들어 절반 수준까지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가 처음 이뤄졌던 지난 1981년의 절반 수준이다.

기업가정신의 하락은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규제완화를 통한 친기업적 경영환경 조성, 기업규제 법안의 신중한 발의, 기업가에 대한 인식 제고 등 기업가정신 제고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문화요인, 제도요인, 경제의지, 기업활동, 공공부문 등을 종합해 기업가정신 지수를 산출한 결과 1981년 183.6에서 2018년 90.1로 37년 새 절반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 지수는 기업호감도, 기업가 직업선호 등 문화요인, 경제제도 수준 등 제도요인, 경제활동참가율, 공무원 시험 경쟁률 등 경제의지, 창업률, 대기업 비중 등 기업활동, 법의 지배지수, 국회 발의법안 건수 등 공공부분, 총 5개 부문 14개 항목을 조사해 종합한 결과다.

10년 단위로 기업가정신 지수 추이를 보면 1981년-1990년 기업가정신 지수는 158.6을 기록한 이후 1991년-2000년 100.8,  2001년-2010년 85.4, 2011년-2018년 88.2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0년대 평균 기업가정신 지수(88.2)는 1980년대(158.6) 대비 약 44% 하락했다.

기업가정신 지수가 절반 이상으로 떨어진 데에는 기업활동과 공공부문 지수의 하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 비중은 1981년 약 7%에서 2018년에는 1%대로 하락했다. 반면 인구 10만 명당 사업체 수는 조사가 시작된 1993년 352.7개에서 2018년 654.6개로 크게 증가했다. 사업체 수는 증가하지만 대기업 비중은 하락한다는 것은 기존 기업의 성장의지가 약화됐다는 방증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공공부문 지수중에서는 발의법안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이 기업가정신 지수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법안 발의 수는 11대 국회(1981년-1985년) 491건에서 20대 국회(2016년-2020년) 2만4014개로 49배 증가했다. 국회는 경제활동 규칙을 정하고 변경할 권한과 책임이 있는데 과도한 법안 발의로 인해 불필요한 규제가 다수 양산돼 기업가정신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1991년-2000년의 기업가정신 지수가 대폭 하락했는데 이는 모든 구성요소의 악화에 기인한다. 경제의지 부문에서는 1991년 100:7을 기록한 공무원 경쟁률은 2000년 100:2 수준으로 급등했고 공공부문에서는 발의법안 수가 제14대 국회(1992년-1996년) 902개에서 제15대 국회(1996년-2000년) 1951개로 2배 이상 상승했다.

기업활동 부문에서는 대기업 비중이 1990년 약 2.5%에서 2000년 약 1.1%로 하락했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직후인 1998년에는 기업가정신 지수가 76.7로 조사기간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하게 기업가정신 지수가 하락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한국의 대기업 비중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며 20대 국회의 발의법안 수는 2만4014개로 역대 최대인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업투자 및 창업률 하락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경제가 침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기업가정신의 발현이 절실하다”며 “미증유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 기업 등 모든 경제주체가 기업가정신 제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