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박선지 기자]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캠핑인구는 2015년 3월 현재 5백만 명을 육박하고 있다. 그런데도 전국 각지에 산재한 캠핑장에 대해서는 소방안전 규정이 전혀 마련되고 있지 않다.

오늘 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캠핑장의 안전 점검을 나간다는 사실을 알고 기자가 동행취재를 해 본 결과 현행법을 바탕으로 안전점검 자체가 실효성이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현장에서 점검하던 공무원들도 소방안전에 관한 특별한 기준이 안 만들어졌다며 답답함을 토로한다. 현장 점검에서 할 수 있는 건 고작 소화기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정도다.

건물 안팎의 전기시설은 오래되고 낡은 채 아무렇게 방치돼 언제 합선 또는 감전사고를 일으킬지 모를 지경이고, 난잡하게 비치된 전기용품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관리하라는 지도 정도밖에는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렇게 방치되다 보니 국립재난연구원 조사에서 전국의 80% 가까운 캠핑장이 최하위 안전등급인 'E등급'인 것으로 드러났다.

“도대체 캠핑장 안전규정이 어떻길래 이런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해당 공무원의 답변이 의뭉스럽다.

“네, 정부도 올해 초부터 새롭게 캠핑장 등록제도를 만들었는데요. 하지만, 이에 따라 갖춰야 할 소방시설은 여전히 미미하고 모호합니다. 소화기와 같은 경우 야영장 규모를 고려해 적정하게 확보하라"고 써있는데, 모호하기까지 하죠.”

박재성 숭실사이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캠핑장 등록제도는 시설에 대한 등록기준이지 안전을 위한 기준이 아니라는 것”이라며, “캠핑장에서의 위험도를 낮추고 제어할 수 있는 그런 기준에서의 의미는 없다고 보인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법률 재·개정을 통한 안전규정 강화와 더불어 민간 주도로 캠핑장의 안전 등급을 평가하는 해외 사례를 해결책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정부가 추산하는 전국의 캠핑장은 1천 8백여 곳이고, 캠핑 인구는 480만 명을 넘어선 만큼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