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전계급이 사후계급으로 이어지고 있어

▲ 묘역에서 참배객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순국선열을 추모하고 있다. (사진=이소정 기자)

[뉴스워치] 6·25 전쟁 발발 68주년을 맞이하면서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숭고한 그분들의 넋을 기려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생전계급이 사후계급으로 이어지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대통령은 80평, 장군은 8명, 병사는 1평 등 생전계급이 사후계급으로 이어지고 있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숭고한 그들의 희생정신은 그 무게를 저울질할 수 없다. 대통령도 장군도 그리고 이름 없는 병사들도 나라를 위해 온몸을 바쳤고, 조국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국립묘지에 묻히는 것도 생전계급에 따라 다르다. 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대통령, 장군, 장교, 병사 모두 사망한 순서대로 1.3평 동일한 면적에 묻히고 있고, 다른 선진국도 역시 장군, 병사 구분 없이 묘지 면적이 1.5평으로 일정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만 유독 생전계급이 사후계급으로 이어지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자아내고 있다.

국립묘지에 안장될 정도면 나라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애국의 무게가 생전계급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그 애국의 무게는 생전계급이 아니라 그 마음에 따라 달라진다. 때문에 국립묘지 면적은 동일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봉분은 물론 묘비조차 없는 1.3평의 면적에 묻힌 미국의 존 F. 케네디 대통령뿐 아니라, 장례도 치르지 않고 화장해서 바다에 뿌리라는 유언을 남긴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의 사례를 깊이 성찰해야 한다.

생전계급이 사후계급으로 이어지는 것은 애국을 위한 고귀한 죽음에 대한 차별을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예우로 연간 수억원의 관리비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차별적 대우는 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