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픽사베이

[뉴스워치] 가습기 살균제 논란에 이어 이제는 살충제 계판, 부작용 생리, 유해물질 다량 검출된 휴대폰 케이스 등 이른바 케미컬 포비아가 사회를 휩싸고 있다.

현대사회는 ‘케미칼’ 즉 화학원료와 밀접한 사회이다. 만약 화학원료가 없다면 우리 사회는 더욱 풍성해지지 못했을 것이다. 때문에 화학원료는 우리 일상생활을 위해 가장 필요한 물질 중 하나다.

화학원료는 ‘잘’ 사용하면 ‘득’이지만 ‘잘못’ 사용하면 ‘독’이 되는 물질이다. 사람의 생명까지 앗아가는 물질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지금까지 화학원료에 대해 관대했다. 투명한 기준도 없고, 선진국에 맞춘 기준도 없다. 우리 사회는 고도 성장에만 매몰되다보니 화학원료가 갖는 무서움은 잊어버린 채 무조건 고도성장과 편리성에만 초점을 맞췄다.

화학원료는 어제도 오늘도, 옛날에도 지금도 그리고 미래에도 그대로 있다.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문제가 있는 것이다. 과도하게 사용하면 독이 되지만 적당하게 사용하면 득이 되는 것이 화학원료다.

문제는 그 기준이라는 것이 명확하지 않고,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사람들의 뇌리 속에 사라지기도 한다. 위험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래도 괜찮겠지”라면서 과도하게 화학원료를 사용하는 제조업자가 있다. 위험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래도 괜찮겠지”라면서 그 화학원료로 만든 제품을 유통하는 업자도 있다.

위험할 것을 알면서도 “그래도 괜찮겠지”라면서 사용하는 소비자들도 있다. 위험할 것을 알면서도 “그래도 괜찮겠지”라면서 그것을 허용하는 정부도 있다.

우리 모두가 ‘부작위에 의한 살인미수범’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화학원료는 철저하게 관리를 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걸맞는 규정을 만들어야 하고 관리 매뉴얼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정부가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소비자들도 철저하고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

우리 사회가 화학원료에 그동안 너무 관대했다. 화학원료가 들어간 제품이 우리 일상생활에 편의성을 가져다준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화학원료를 완전히 끊어버린 생활은 상상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화학원료를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그러자면 국회는 화학원료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개정해서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 역시 화학원료를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을 만들어야 한다. 기업들도 수익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화학원료 기준이 불분명하다고 해서 그에 걸맞게 제품을 만들 것이 아니라 우리 가족이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소비자들도 역시 현명해져야 한다. 화학원료에 대해 철저하게 공부를 해서 화학원료를 과도하게 사용한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불매운동 등을 통해 소비자의 권리를 찾아야 한다.

케미컬 포비아는 어느 특정 세력이 노력을 한다고 해서 해소될 문제는 아니다.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해소될 수 있는 문제다. 때문에 정부도, 국회도, 제조업자도, 유통업자도, 소비자도 모두 화학원료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