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어기선 기자] 삼성이 위기에 놓이게 됐다.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영장이 특검에 의해 청구된 상태다. 오는 18일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있다.

삼성그룹은 도주 우려가 없고,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다는 논리로 영장실질심사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법원에서 구속영장 발부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릴 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는 글로벌 시장에서 7위를 기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단연히 독보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패스트 팔로어와 퍼스트 무버 사이에서 삼성전자의 전략은 과거에는 패스트 팔로어였다. 하지만 이제는 퍼스트 무버로 옮겨가고 있는 모습이다.

참고적으로 퍼스트 무버(First Mover)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사람, 혹은 기업을 의미한다. 반대로 퍼스트 무버가 만든 제품이나 기술을 빠르게 따라가 가격·품질면에서 이를 개선한 제품을 내놓는 전략이나 기업은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라 한다.

이처럼 삼성전자가 이제는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이 됐다. 하지만 그런 삼성전자가 이제는 위기에 놓이게 됐다.

지난해 갤럭시노트7의 단종에 이어 올해에는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이라는 난제를 만난 것이다. 이건희 회장이 있지만 아직 병석에 누워있다는 점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은 삼성전자에게는 위기라고 할 수 있다.

리더십 공백과 경제적 파장을 우려해 선처를 하고 있지만 일반 여론은 냉랭하기 그지 없다.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쌓여 있었고, 그동안 삼성전자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도 쌓여왔기 때문이다. 거기에 재벌 개혁이라는 바람이 불면서 삼성이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은 재계에서는 일종의 조리돌림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을 구속시킴으로써 분노한 국민의 분풀이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기에는 우리에게는 너무 많은 기회비용이라는 점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 여부에 대해 마냥 왈가왈부할 수는 없는 사안이다.

삼성은 글로벌 신뢰도가 하락하는 것은 물론 사업기회 배제, 투자 차질 등으로 인해 엄청난 손실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다.

구속영장이 만약 법원에서 발부된다면 기업 이미지의 추락은 불가피하다. 무엇보다 ‘삼성=뇌물’이라는 이미지가 덧씌워지게 되면 글로벌 신뢰도는 땅으로 추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선진국은 뇌물을 주거나 회계부정을 저지른 해외기업에 대해 해외부패방지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이 구속될 경우 삼성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미국 내 사업이 제한되고 거액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또한 미국 기업과의 인수합병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도널드 트럼프 생정부가 추진하는 1조달러 인프라 사업에 삼성이 참여하지 못하는 등의 손실이 우려된다.

더욱이 국민연금을 통해 박근혜정부가 삼성물산 합병을 도와줬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자칫하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관련 소송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가 투자자국가간소송(ISD)을 제기할 수 있다. ISD는 해외 투자자가 상대국의 법령·정책 등에 피해를 봤을 경우 국제기구를 통해 중재를 받는 제도다.

뿐만 아니라 삼성의 인사 역시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재용 부회장이 구속되고 나면 삼성의 인사 단행은 연말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삼성의 개혁은 사실상 중지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지주회사 전환이나 미래전략실 폐지 등 삼성의 개혁이 예고돼 있는데 당분간 중지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민적 분노는 크다.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으로 인한 분풀이가 끝날 것으로 보여진다. 문제는 그로 인한 기회비용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