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어기선 기자] 최근 온나라를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이슈가 있다. 바로 미르재단·K스포츠재단이다. 미르재단·K스포츠재단과 관련해서 전경련이 매개로 해서 대기업을 상대로 600억원 가량을 모금했는데 이 돈이 자발적으로 모금한 돈인지 아니면 강제적으로 모금한 돈인지 여부가 뜨거운 감자가 됐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최순실씨가 이 두 재단의 인사에 개입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라고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 두 재단과 연관돼서 차은택 감독에 대한 의혹이 계속적으로 불거져 나왔다.

이에 야당은 국정감사를 통해 이 두 재단과 관련된 각종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하겠다고 나섰다. 그래서 최순실씨, 차은택 감독을 비롯해 핵심 인사의 국감 증인 채택을 시도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이 이를 정치적 공세라면서 반대를 하면서 사실상 국감 증인 채택이 어려워지고 있다.

그런데 이 두 재단과 관련된 의혹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전 대표의 도박 사건이라는 조그마한 사건에서부터 출발을 했다.

이 조그마한 사건이 맞물리고 맞물리면서 이처럼 거대한 태풍이 된 것이다. 서울중앙지검 형사부는 2014년 정 전 대표의 도박 혐의에 대해 수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무혐의 결론을 내렸다.

그럼데 지난해 100억원대 원정도박 혐의로 다시 검찰의 수사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최유정 변호사에게 자신이 구속되지 않는 조건으로 착수금 20억원과 성공보수 30억원을 제시했지만 결국 구속이 이뤄졌다.

이에 정운호 전 대표는 최유정 변호사에게 20억원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최유정 변호사는 이를 거절했고 결국 두 사람 사이에서 몸싸움이 발생했다. 최유정 변호사는 정운호 전 대표를 상대로 폭행죄로 고소를 했고, 이 사실이 언론을 통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전관예우 논란이 불거졌다.

최유정 변호사는 자신만 돈을 받은 것이 아니라 주변 변호사들과 나눴다고 실토함녀서 홍만표 변호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됐다. 최유정 변호사와 홍만표 변호사는 변호사법 위반, 비리, 탈세 등의 혐의로 구속됐다.

문제는 정운호 전 대표를 수사하던 검찰은 정운호 전 대표가 롯데그룹과 연결고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그 과정에서 진경준 전 검사장의 재산이 문제가 됐다. 언론이 이번 기회에 고위공직자 재산을 들여다본 것이다.

그런데 진경준 전 검사장의 재산이 120억원이나 되는 사실이 알려지게 됐고, 검사장 신분으로 120억원의 재산이 형성된 의혹에 대해 언론이 집중 조명하기 시작했다.

그로 인해 넥슨과 연결고리가 있음을 알아냈다. 즉, 넥슨 주식을 사서 대박났다는 것과 그것이 넥슨 김정주 회장과 연결이 있다는 것이 세상에 드러나면서 결국 진경준 전 검사장은 검사장 자리에서 사퇴를 했고, 구속됐다.

문제는 조선일보가 넥슨의 뒤를 파다보니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처가의 땅과 관련된다는 것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넥슨이 2011년 3월 우병우 수석 처가 소유 땅을 1325억원에 매입을 했다. 그리고 2012년 7월 넥슨은 부동산 개발회사에 땅을 매각했다. 넥슨은 우병우 수석 처가 땅을 매입한 의혹에 대해 신사옥을 지으려고 했다고 해명을 했다. 하지만 신사옥은 판교에 지어지게 됐다. 때문에 우병우 수석의 처가 땅이기 때문에 넥슨이 매입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하지만 넥슨은 우병우 수석 처가땅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주장을 했다. 또한 우병우 수석 역시 자신은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조선일보는 우병우 수석이 직접 계약서를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그러자 청와대는 장모를 위로하러 갔다고 해명을 했다. 그리고 조선일보는 아들의 군대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이후 사퇴 여론이 들끓듯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언론은 물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은 사퇴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집권여당인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사퇴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굳건히 우병우 수석을 지켜왔다.

이에 결국 청와대는 특별감찰관 제도를 발동했다.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이 우병우 수석의 의혹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건은 또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기 시작했다. MBC가 이석수 특별감찰관과 조선일보 기자가 대화한 SNS를 입수했다면서 단독으로 보도를 했다.

이후 청와대는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이 조선일보 기자에게 특별감찰 내용을 유출한 것은 ‘국기문란’이라면서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도 우병우 수석의 의혹을 수사해달라면서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그 당시만 해도 청와대가 대노한 것이 단순히 우병우 수석에 대한 특별감찰 내용을 언론에 유출한 것 때문인 줄로만 알았다.

어쨌든 당시 청와대는 조선일보를 향해 ‘부패한 기득권세력’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리고 조선일보 송희영 전 주필이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호화 접대 의혹이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으로부터 제기됐다. 그리고 청와대도 이런 사실을 계속해서 뒷받침해줬다.

송의영 전 주필이 고재호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의 연임을 로비하기 위해 지난해 청와대 고위층 관계자를 접촉했다라는 사실이 청와대로부터 나왔다. 이에 송희영 전 주필은 사의를 표명했고, 주필직에서 해임됐다.

이때까지만 해도 청와대가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은 우병우 수석을 지켜내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그런데 TV조선이 이 당시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에 대한 의혹을 살짝 보도했다. 하지만 아무도 그에 관심을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청와대가 ‘국기문란’이라면서 대노하면서 미르재단·K스포츠재단 이야기는 사라졌다.

하지만 두 달도 안돼서 ‘한겨레’가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최순실씨가 미르재단 인사에 개입한 의혹을 제기하면서 세상이 떠들썩하게 됐다.

그리고 각종 의혹이 계속 불거져 나온 것이다. 처음에는 정운호 전 대표의 도박 사건에서 출발했지만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결국 미르재단·K스포츠재단까지 이어진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