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강민수 기자]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이 자치구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지역밀착형 마을공동체 사업 추진을 본격화한다.

서울시는 지난 5년간의 마을공동체 성과를 돌아보고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그동안 마을사업에 참여한 주민과 활동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듣는 청책토론회 ‘마을공동체 되돌아보기, 새길찾기’를 지난 27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마을사업에 참여했던 마을주민과, 지역에서 주민들의 마을활동을 돕는 자치구 중간지원조직인 ‘자치구생태계조성사업단’(이하 ‘자생단’), 지역별 자체적인 마을활동가 모임인 ‘마을넷’, 마을사업을 함께하는 자치구 공무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날 자리는 서울시가 기획해 주민을 초청하는 기존의 방식이 아닌 마을활동가 모임인 ‘마을넷’과 ‘자생단’이 주최하고 서울시와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가 협조한 주민 주도의 토론회로 주민의 입장에서 마을공동체 사업에 대한 고민과 대안을 논의했다.

먼저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김수경 실장은 지난 5년간의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으로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주민 3만 1974명이 마을사업을 상담 받고, 2만 5530명이 교육을 받았으며 지원 사업에 직접 참여한 시민은 7만 2080명이 됐다.

모두 합치면 12만 9884명이 마을공동체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것이다. 김 실장은 천만 서울시민의 1%가 시정의 수혜자가 아닌 마을의 주체로 발굴된 것으로 이 1%가 99%시민들이 참여와 주체로 등장할 수 있는 희망이 됐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숫자는 자치구에서 추진한 구마을사업 등은 제외된 숫자로 자치구에서 펼쳐진 교육과 상담, 지원사업 등을 모두 합하면 마을사업 참여자는 약 20만여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장은 숫자를 넘어선 삶의 질에서 방점을 찾는다. 마을사업에 참여한 주민을 대상으로 한 공동체성, 정주성, 행복감은 참여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단연 앞섰다.

예를 들어 ‘이 마을에 오래 살고 싶다’는 정주성이 마을사업 참여자는 88.4%였던 반면 서울시 전체 조사에서는 59.4%(2016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였다.

공동체성도 87.6%로 집계돼 전체 국민 대상의 통계청 조사 80.%(‘2015 통계청 국민 삶의 질 조사)나 OECD조사(2016 Better Life Index) 75.8%에 비해 크게 앞섰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