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산업부·공정위 유류세 인하 현장 점검 예고
정유업계 "수익만 보면 주유소 사업 접어야"
수익률 1.8~2.5%…토양 정화 등 폐업 시 최대 5억원에 버티기 중

정부가 높아진 유가에 유류세 인하와 함께 현장 점검에 나서지만, 주유소 사업은 이미 낮은 수익률이 몇 년째 지속되며 점점 숫자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 사진=픽사베이

[뉴스워치= 김성화 기자] 정부가 높아진 유가에 유류세 인하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애먼 주유소만 긴장하게 생겼다. 정작 정유업계에서 국내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 특히 주유소 사업 비중은 크지도 않은데 보여주기식 점검에 나서는 모습이다.

지난 27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공정거래위원회는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정유업계와 주유업계에 대한 현장 점검에 나선다. 내달 1일부터 유류세 인하폭이 37%로 확대되면서 이 가격이 현장에 반영되는지를 보기 위해서다. 또 공정위는 담합 여부를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해당 보도가 나가면서 관련 업계는 긴장하는 모습이다. 이날 대한석유협회와 한국석유유통협회, 한국주유소협회 등 관련 업계는 유류세 인하를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보도자료를 발표했다.

이런 현장 점검이 얼마나 효과를 보일지 알 수 없다. 오히려 낮은 수익률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주유소가 제가격을 반영하기 어려운 분위기를 조성할 수도 있다.

정유업계에 따르면 대형 정유사는 국내 주유소 사업에 대해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수익만 보자면 주유소 사업을 접고 싶어 하지만, 에너지 공급이라는 사업 성격에 따라 유지하고 있는 것”이라 말했다.

우선 우리나라 빅4 정유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 수익률이 좋다고 하지만, 매출 중 국내 비중은 낮은 편이다. 유가가 오른 올해 1분기를 기준으로 봐도 GS칼텍스는 올해 1분기 11조원 매출 중 3조원이 내수 매출이며, 현대오일뱅크는 7조원 중 약 2조원, SK이노베이션은 연결 조정 전 19조원 중 5조5000억원이다. S-OIL은 정유부문 7조1700여억원 중 3조4000억원 정도다.

여기서 주유소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 낮다. GS칼텍스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11조원 매출 중 3조원이 정유 사업이며, 이중 내수 비중은 33%다. 내수 매출은 다시 주유소 사업과 대리점, 중소 거래처인 소매 사업과 대형 사업체와 내국적 외항선, 충전소 등 도매로 나누어 진다.

S-OIL은 공시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 휘발유와 등유, 경유 등 소매 경질유의 70%가 주유소를 통해 판매된다고 밝혔으며, 이 금액은 약 1조7000억원 정도다.

주유소 수익률이 낮다는 건 익히 지적된 부분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9년 사이 주유소 업종 평균 영업이익률은 1.8~2.5%다. 타업종 대비 높지 않지만 정부에서 현장 점검까지 나서는 분위기라 수익률 조정은 더욱 쉽지 않은 분위기다.

주유소 사업이 하락세란 건 주유소 숫자에서도 나온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전국 주유소 숫자는 셀프 주유소를 제외하고 1만1064개로 전월 대비 12곳이 줄었다. 10년 전인 2012년 5월 1만2883개와 비교하면 2000곳이 넘게 줄었다. 최근 들어 셀프 주유소가 그나마 늘어나며 전체 주유소 숫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지방은 유동량이 적어 그마저 쉽지 않다.

이 마저도 업계 사정 상 폐업 속도가 더딘 게 한몫 한다. 주유소는 폐업 시 토양오염 조사를 받고 시설물 철거와 정화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 비용이 최소 1억원에서 최대 5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다 보니 그냥 방치하는 게 차라리 돈을 버는 일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지난해 10월 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폐업주유소 1073곳 중 973곳은 업종을 변경했으며 50곳은 현장에 방치돼 있다. 주유소 사업을 제기한 곳은 28곳이었다.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가격은 최종 가격이다.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국제 가격과 연동되는 만큼 수입 가격과 물량에 대한 대책부터 나오는 게 순서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97년 유가 자유화 이후 국제 원유가격을 기준으로 국내 석유제품가격을 책정했지만 2001년 이후 수입제품의 급격한 유입과 국회 등의 요구에 따라 국제 석유제품가격을 기준으로 하는 가격 책정 방식으로 변경됐다.

김성화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