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급한 LH 물량 중 1만2029가구 임차인 못 구해

출처=국회예산정책처 '2020 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국토위)' 자료 캡처.
출처=국회예산정책처 '2020 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국토위)' 자료 캡처.

[뉴스워치= 김웅식 기자] 정부가 내년까지 공공임대주택을 200만 가구로 늘릴 계획인 가운데, 지난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급한 공공임대주택 1만2029가구는 임차인을 못 구한 것으로 집계돼 실수요자의 눈높이를 못 맞추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2일 국회예산정책처 분석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LH가 공급한 공공임대주택 7만2349가구 중 16.6%인 1만2029가구가 올해 5월까지 임차인을 못 구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섯 집 중 한 집꼴로 비어 있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내년까지 공공임대주택(10년 이상 장기) 재고를 200만 가구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혀 그 실효성에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말까지 장기 공공임대주택 재고를 185만 가구로 확대하고, 내년에도 22조 8000억원을 투자해 장기 공공임대주택을 200만 가구로 늘려 재고율을 9%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지난 1일 밝혔다. 

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은 국내 모든 주택 수에서 공공임대주택이 차지하는 비율로, 국가의 주거 안전망 지원 수준을 가늠하는 대표적인 주거정책 지표이다.

국토부는 지난해 기준으로 장기 공공임대주택 재고는 170만 가구를 넘어 재고율이 8%를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2017년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이후 공공임대주택 재고는 134만 가구에서 170만 가구로 26% 증가했다. 이는 무주택 임차가구 731만 가구의 20% 이상인 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집값과 전셋값이 급등한 상황에서도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이 대량으로 공실로 남은 것은 문제다. 공공임대주택 정책의 방향과 실효성에 의문을 갖게 하는 부분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공임대주택에서 공실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원룸같이 좁은 집을 대거 공급해 실수요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 큰 문제”라며, "일반 분양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공실을 만드는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인지 국토부는 공공임대주택의 물량 확대와 함께 운영과 주거품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일단 더 넓고 쾌적한 임대주택이 공급된다. 3~4인 가구가 선호하는 중형주택(60~85㎡)을 도입하고 주요 마감재 품질을 분양주택 수준으로 올릴 계획이다. 단지 안에 국공립어린이집, 생활문화센터 등을 설치하고 건강·복지·창업지원 등의 다양한 사회서비스도 같이 공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영구임대·국민임대·행복주택 등으로 복잡한 유형을 하나로 묶은 ‘통합 공공임대주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공급자 중심의 유형별 칸막이 운영에서 수요자의 소득수준, 가구 특성에 따라 임대료·입주기준을 설정하는 통합관리로 바뀐다.

이렇게 하면 입주대상이 현재 기준 중위소득 130%에서 150%(맞벌이 180%·연소득 1억 1000만원 이하)까지 확대되고,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를 입주자의 소득에 따라 달리 부과할 수 있다.

김웅식 기자 newswatch@newswatch.kr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