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픽사베이

[뉴스워치=이두환 기자]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다. 지구의 날은 1970년 4월 22일, 미국 위스콘신 주의 게이로드 넬슨 상원의원이 환경문제에 관한 범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지구의 날’을 처음으로 선언한 것에서 유래한다.

‘1970 지구의 날’은 미국 역사상 가장 대규모로 조직된 시위였다. 2천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지구의 날 행사에 참가해 연설을 듣고, 토론회를 개최하고, 환경을 깨끗이 하기 위한 실천적인 행동을 했다.

이후 환경문제가 서서히 세계적인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해추방운동연합’, ‘대한YMCA연맹’, ‘대한YWCA연합회’, ‘한국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 ‘한국 천주교평신도 사도직 협의회’, ‘한살림모임’ 등 6개 단체가 주도적 역할을 해서 ‘지구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세계 150여개국이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담은 기후변화협약인 파리협정에 서명을 한다. 우리나라 수석대표로는 환경부 윤성규 장관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고위급 회의에서 파리협정에 공식 서명한다.

신기후체제 합의문인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은 2020년 만료예정인 기존의 교토의정서 체제를 대체하는 것으로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3억 1천만톤의 온실가스를 2030년까지 감축하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이라는 강도 높은 목표를 제시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연간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약 7억 t에 이른다. 이 양은 점점 늘어나 2030년에는 8억 t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단순히 석유산업을 줄이는 방식으로는 온실가스 감축이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문제는 화력발전소가 많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발전량에서 석탄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총 전력거래금액, 즉 전력을 생산한 대가로 발전업자에게 지급한 돈은 41조 6천억원으로 전년(44조 4천억원) 대비 6.2% 감소했다. 그

런데 전력거래금액을 발전 연료별로 보면 석탄이 전체 34.9%인 14조 5천200천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액화천연가스(LNG)가 32.3%(13조 4500억원), 원자력이 23.7%(9조 8500억원)였고, 신재생에너지는 전체의 4.7%인 1조 9100억원에 그쳤다.

우리나라 산업전기료가 다른 전기료에 비해 상당히 저렴하면서 공장의 가동체제를 산업전기로 전환하는 경향이 상당히 짙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석탄 용광로보다는 전기 용광로가 그 비용이 저렴하면서 용광로가 전기 용광로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전기 소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런 식으로 산업분야에 전기가 과소비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석탄발전이 상당히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런 석탄발전량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온실가스를 상당히 감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더불어 탄소자원화 분야 산업 육성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청와대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겸 바이오산업 생태계·탄소자원화 발전 전략 보고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바이오산업 생태계 확충과 탄소자원화 전략이 제대로 시행되면 우리에게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먹거리를 확보하는 데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탄소자원화 전략과 관련해 “변화된 기후 패러다임을 적극 활용해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지혜가 필요하고 탄소자원화 기술이 그 핵심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