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코로나19 확산 경제주체들 행태에 변화 유발 가능성

사진=연합뉴스

[뉴스워치=윤영의 기자] 코로나19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경기침체를 초래하는 데 그치지 않고 경제주체들의 행태에도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왔다.

예컨대 가계는 생계와 안전에 위협을 겪으면서 위험 회피 성향이 높아지고 기업은 예기치 못한 생산차질을 겪으면서 효율성뿐만 아니라 복원력·유연성에도 큰 가치를 부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같은 경제주체들의 행태변화로 인해 경제환경에도 변화가 나타나는 등 가계 및 기업 비대면 활동 유인이 커지면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보호무역 강화, 인적교류 약화로 탈세계화 추세도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코로나19 위기로 촉발된 주요 환경변화로 인해 국내외 경제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탈세계화 추세 확산으로 세계교역 성장세가 이전보다 둔화되겠으나 디지털경제 가속화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교역 확대를 통해 탈세계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일정 부분 상쇄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와 함께 제조업의 스마트화가 촉진되고 비대면산업, ICT서비스, 친환경, 바이오헬스 중심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한국은행은 내다봤다.

노동시장의 경우 숙박음식, 도소매, 판매직 등 대면업무 비중이 높은 직업군의 고용이 감소하는 반면 비대면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 위기 이후 경제환경 및 구조에 나타날 이같은 변화는 궁극적으로 한국 경제 성장과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산업·노동 구조 변화와 글로벌 교역 둔화로 생산요소 투입이 부진해지면서 잠재성장률에 하방압력이 증대될 수 있지만 ICT 산업 투자 확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은 이러한 하방압력을 상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가의 경우 역시 예비적 저축 유인 증대, 디지털경제 가속화에 따른 하방압력으로 저인플레이션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나 글로벌 유동성 누증, 글로벌 공급망 약화로 인한 상승압력에도 유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같은 구조적 변화는 여러 국가에서 단일하게 나타나기 보다는 국가별 다양한 방향과 속도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디지털경제 가속화는 각국 대응에 따라 어느 나라에서는 생산성을 높이는 긍정적 측면이 부각되고 다른 나라에서는 노동투입 감소라는 부정적 측면이 부각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 관계자는 “구조변화의 진행속도, 방향성에 대해서도 불확실성이 크지만 코로나19 위기의 영향에서 벗어나더라도 가계·기업·정부의 행태가 이전과 같은 모습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