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관리공단 직원들이 ‘방진복’과 ‘특수마스크’를 착용하고 임대아파트 내 저장강박증 세대의 집 안팎에 방치된 쓰레기를 분리수거 처리하고 있는 모습이다.

[뉴스워치=전수용 기자] ‘쓰레기 집’으로 인식되는 저장강박증 현상이 LH임대아파트 내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안에 물건을 쌓아두고 버리지 못하는 증상을 저장강박증이라고 하는데 지난 5월에 수원 ‘쓰레기 아파트’ 두 남매의 어머니도 저장강박증으로 추정된다.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이 주택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공임대아파트 내‘쓰레기 집’이 지난 한해에만 292세대가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현재까지 253개를 정리하였지만, 여전히 39세대는 쓰레기 더미 속에 있는 실정이다.

임대유형별로는 영구임대가 226세대(77.4%)로 가장 많았으며, 국민 53세대(13.1%), 50년 공공임대가 13세대(4.5%)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51세대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와 대전충남이 각각 39세대, 인천 37세대, 광주전남 36세대, 충북 20세대 등 순이다.

이런 ‘쓰레기 집’한 세대를 정리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487만원이다. 전체 292세대의 폐기물처리, 도배장판, 주방가구 교체, 실내소독 등에 14억2204만원이 소요되는 셈이다.

문제는 임대아파트 내 ‘쓰레기 집’을 청소ㆍ소독하려 해도 입주자가 반대하면 해결책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 임대아파트 33세대가 입주민 거부로 처리를 못하고 있다. 더군다나 한번 치운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재발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해당 입주민과 이웃 주민들이 벌레 서식과 악취 등 위생문제 뿐만 아니라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인근 주민과 관리직원들은 문제 해결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태원 의원은 “최우선적으로 정상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쓰레기 더미 등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살고 있는 심신미약 세대를 찾아내야 하며, 단순히 청소와 소독에 그치지 않고 지방자치단체와 사회복지기관 그리고 병원 등과의 연계서비스(정신건강 상담 및 자활프로그램 제공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지속적 관심을 기울이고 지원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에 사는 분들은 가난, 질병, 외로움 등 가슴아픈 사연이 없는 분이 없다”며 “공공임대아파트의 관리업무는 시설물을 고치는 기술뿐만 아니라 입주민의 마음도 고쳐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