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호 / 동덕여대 교수

요즘 언론에서 심심치 않게 나오는 말 중 하나가 ‘다문화인’이란 용어이다.

‘다문화 인’이란 다문화라는 용어로 미루어 볼 때, 여러 나라의 생활방식을 이해하거나 이에 익숙한 사람을 뜻하는 것 같지만 문맥을 따져보면 우리와 다른 민족 또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일컫는다. 단적으로 말해 한국 사람과는 다른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다문화인을 이 땅에 살고 있는 한국 사람과는 다른 종류의 사람이라고 본다면 다문화라는 말이 참으로 우습게 된다.

다문화사회라는 것이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사회를 이루며 서로 다른 문화를 인정하고 이해하며 동시에 자신들이 소속된 사회 공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사회라고 볼 때, 다문화인이라는 용어는 한국 사람과 다른 사람들을 편 가르고 구별하는 용어로서 결국 다문화사회를 부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혼란이 생기는 이유는 다문화사회를 맞이하는 우리의 정책이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부의 다문화정책의 정책대상은 항상 이주민이고 정책 내용은 한국사회의 적응력을 기르는 것이다.

우리의 다문화정책이 대부분의 초점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 교육에만 집중되어 있다. 외국인에게만 집중돼 있는 편협적인 다문화 정책을 타파하고 좀 더 체계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교육부가 올해 4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유치원은 올 초 교육부 발표에 따라 서울을 비롯, 경기, 충남, 전남, 경남교육청 등 5개 지역에서 6곳씩 시범 운영되고 있는 사업인데 이 '다문화유치원'이 시범 운영에 들어간 지 3개월이 지나며 여러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고 한다.

그중 하나가 비(非)다문화아동과 함께 하는 수업 때문에 발생하는 어려움인데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정책 대상은 분명하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이 적어 이들만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실제로 모유치원 원장은 "학습 프로그램을 전체 원아들이 다문화 수용성을 넓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시민들의 인종 간 차별을 줄일 수 있도록 전반적인 시민의식 수준을 고양시키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행정자치부의 2015년 외국인주민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다문화 국가의 구성은 중국, 베트남, 태국, 필리핀,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주로 동남아계 혹은 중국계로 대표되는 아시아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의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연구를 보면, 한국과 교류가 빈번하거나 다문화 이주자의 출신국에 해당하는 외국인 집단을 미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몽골, 남아시아를 비롯하여 새터민(탈북자), 중국의 조선족 등을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응답자들은 미국인을 가장 가깝게 여기고 있었다.

이어서 새터민, 조선족의 순서로 나타났고, 가장 거리감을 멀게 느끼는 대상은 남아시아와 몽골사람이었다. 이는 한국인의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불행히도 우리는 아직 다문화사회란 무엇이고 이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사회적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다문화인이라는 용어에는 이런 혼란 속에서 다문화사회를 준비하는 우리의 마음속에 다문화를 인정하지 싫거나 이주민을 우리에게 동화시키고 우리의 고유문화를 지켜나가겠다는 무언의 의지가 담겨 있다.

다문화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모두 다문화인이다. 다문화정책은 다문화인이 대상이 되어야 한다. 한국 사람도 이주민들도 모두 다문화인이라는 자각을 가질 때 진정한 다문화사회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