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산업부 유수정 기자

[뉴스워치=유수정 기자] 정부가 지난 21일자로 명태의 국내 포획을 일절 금지했다. 한때 ‘국민 생선’으로 불릴 만큼 친숙했던 명태가 최근 들어 ‘씨가 말랐다’는 말이 절로 나올 만큼 귀한 신세가 됐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1991년까지만 하더라도 명태의 연간 어획량은 1만톤(t)을 넘었지만 점차 줄어들다가 결국 2008년에는 0톤을 기록했다. 1971년 새끼 명태인 ‘노가리’ 포획 허용과 동시에 무분별한 조업이 벌어진 탓이다.

이후 동해안에 명태가 돌아왔다는 언론 보도가 간간히 나오기는 했지만 실질적인 어획량은 거의 0에 가까울 만큼 국내 바다에서는 더 이상 명태를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정부 차원에서 진행한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가 역부족일 만큼 말이다.

일명 ‘금징어’로 불리는 오징어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최근 들어 국내 어획량이 크게 줄어든 탓에 두 배 이상의 가격 인상률을 보인 오징어는 서민 식탁에서 자취를 감춘 지 오래다.

우연의 일치일까. 같은 날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12월 기준 어묵의 판매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3.1%나 증가했다는 자료를 내놨다. 이는 다소비 가공식품 30개 품목 중 가장 가파른 상승폭이다.

대표 제품을 대상으로 한 단편적인 결과일 수 있지만 사실상 최근 들어 어묵은 ‘귀족 음식’이 된지 오래다. 어묵의 재료인 명태나 흰 조기, 대구, 오징어 등의 어획량이 국내는 물론 해외 수산 시장에서도 점차 줄고 있어서다.

생산량 감소는 결국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원재료 가격이 인상된다는 점은 가공식품 제조에 직격탄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식품업계는 이 같은 상황을 ‘꼼수’로 이용하기 일쑤다. ‘원재료값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는 명목으로 당당하게 원가 상승 이상의 가격을 올리는가 하면, 기존 제품의 원재료 함량을 조절하고 도리어 ‘프리미엄’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고가의 제품군을 내놓는 일도 부지기수다.

물론 식품업체가 원재료 수급에 있어 모든 상황을 예측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나 계약재배 등의 방식이 불가해 어획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수산물의 경우 더욱이 그렇다.

그러나 위기상황을 대비한 물량비축 및 연간계약 등을 통해 안정된 시장 가격을 형성하는 것 역시 식품업체의 역할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도 안정적 수산물 수급 관리에 전력을 다해야 한다.

이번 정부 조치가 수산 가공품의 가격 급등으로 이어져 서민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길 바란다. 명태 조업 중단으로 일시적으로나마 수입산 어육의 가격이 급등하는 점을 노려 또다시 ‘원재료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핑계로 소비자를 기만해선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