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선거 이후 낙관론·비관론 혼재....내년은 더 어려워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제공=연합뉴스

[뉴스워치=어기선 기자] 미국의 중간선거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우리 경제도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당초 중간선거가 끝난 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만나서 미중 무역전쟁을 종식시킬 것이라는 기대가 우세했다.

하지만 비관론이 점차 고개를 들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하원을 차지한 민주당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무역전쟁이 쉽게 종식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는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내년도 경제성장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화해 제스처 보인 트럼프-시진핑, 하지만 현실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지난 2일 한차례 통화를 하면서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이달 말 아르헨티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논의를 하자고 합의를 했다.

이에 미중 무역전쟁의 끝이 보이는 듯 했고 G20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미중 무역전쟁을 끝낼 것이라는 국제사회의 기대가 우세했다.

하지만 의외로 전쟁은 장기화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하원을 차지한 민주당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정책에 대해 동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하원을 차지하게 되면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제동이 걸리게 되면서 무역전쟁도 종식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민주당도 대중국 정책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비슷한 생각을 하기에 장기화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낸시 펠로시 민주당 하원 대표는 “미국 노동자와 제품을 위해 더 많은 것으로 해야 한다”면서 “무역전쟁에서 보다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정책을 지지한 바 있다.

이에 중간선거 결과와 관계없이 지금의 대중국 정책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며 2020년 재선 때까지 무역전쟁이 이어질 가능성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이달 말 예정된 두 정상의 만남에서 별다른 소득을 얻지 못한 채 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증시 전문가들도 장기화 예측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것은 국내 증시 전문가들도 예측하기 시작했다. KB증권은 지난 8일 무역전쟁 장기화를 점쳤다.

상원은 공화당이, 하원은 민주당이 차지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불가피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후퇴했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이에 KB증권은 초당적 카드로 탈바꿈한 미중 무역전쟁이 중간선거 이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고, 글로벌 패권 경쟁이라는 본질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행 역시 무역전쟁은 장기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은은 지난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미중 무역갈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1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수출 화물이 선적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장기화에 따른 우리 경제 악화

또한 한은은 무역전쟁 장기화가 내년부터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소비·투자심리도 약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은 세계 교역의 22.7%를 차지하고 있는 경제 대국이자 우리나라에게 양국은 주요 교역국이기에 장기화되면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다.

무역전쟁으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중간재 수요가 줄어들게 되면 우리 수출은 타격을 입게 된다. 특히 대중국 수출은 24.8%인데 이 중 중간재는 80%의 비중을 차지한다. 즉, 중국이 수출길이 막히게 되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만약 내년부터 미국이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율을 현재 10%에서 25%로 올리게 된다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전쟁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게 되면서 가계와 기업의 소비, 투자 결정을 미루게 할 수 있고, 이것이 우리 경제에 하방 리스크로 작용될 수 있다.

한은은 “미국의 대중 통상정책이 자국 내 산업 보호, 외국인투자 유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미중 분쟁이 단기간 내에 해소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미중 무역갈등이 세계 경기 둔화로 이어질 경우 한국 경제의 피해 규모가 확대할 수 있다”며 “글로벌 통상여건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면서 우리 정부의 선제적 대응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