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김도형 기자] 지난해 중동에서 300명이 넘는 메르스 사망자가 발생했음에도 외교부는 해당지역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새정치민주연합 최재천 의원이 26일 질병관리본부와 외교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동지역에서 2014년 한 해에만 총 310명의 메르스 사망자가 발생했음에도 외교부는 해당국가에 대해 평소 발령 중이었던 황색경보를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같은 시기 서아프리카 에볼라 발생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여행경보를 발령한 상황과 비교된다는 지적이다.

현재 외교부가 시행중인 여행경보제도를 살펴보면 ‘여행경보제도’와 ‘특별여행경보제도’로 구분되며, ‘여행경보제도’는 남색경보(여행유의), 황색경보(여행자제), 적색경보(철수권고), 흑색경보(여행금지)로 구분되고, ‘특별여행경보제도’는 적색경보에 해당하는 ‘특별여행주의보’와 흑색경보에 해당하는 ‘특별여행경보’로 구분된다.

2014년 7월 당시, 에볼라 최다 감염자 발생 국가는 ‘기니’로서 총 472명의 감염자가 발생했으며, 에볼라 최다 사망자 발생 국가는 총 25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시에라리온’으로 나타났다.

WHO에서는 해당 발생 국가에 대해 특별히 여행을 제한하지 않았으나 대한민국 외교부는 이들 국가(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에 대해 ‘특별여행경보’를 발령했다.

같은 시기 중동에서는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가 유행하고 있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 오만, 쿠웨이트 등 대부분의 중동국가에서 메르스가 발생했고,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에서만 716명의 감염자와 26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에볼라가 발생한 서아프리카 지역(기니,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만큼 메르스 역시 중동에서 맹위를 떨쳤음에도 외교부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여행경보 수준을 평소와 다름없는 황색경보(여행자제 구역)로 외교부는 이 부분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해서는 2004년 이래 여행 자제를 권고하는 황색경보가 현재까지 기 발령 중,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황색경보(2단계 여행자제) 발령은 이슬람 무장단체 테러 위협 심화에 기인”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최재천 의원은 “이런 상황들을 고려해 볼 때, 현재의 메르스 사태 책임에서 외교부도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며 “당시 외교부가 서아프리카 지역과는 달리 중동 지역의 여행경보를 느슨하게 유지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