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학생 두발자유화 선언 논란 증폭

▲ 지난 오후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하교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뉴스워치=강민수 기자] 서울교육청이 학생 두발자유화를 선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지난 27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중고생의 두발 규제를 전면 폐지하는 선언을 했다.

각 학교에 자체 공론화를 거쳐 내년 1학기 내 학생생활규정(학칙)을 개정하고 2학기부터 시행할 것을 언급했다.

머리카락 길이 규제는 반드시 없애고 파마나 염색도 제한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라는 가이드라인도 제시했다.

이를 두고 논란은 증폭되고 있다. 두발과 복장에 대한 학생 선택권이 넓어지면서 학생들 사이에서 위화감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와 학교 자율성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반대하는 쪽에서는 학생의 자기결정권·인격권 등의 기본권 침해이므로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찬성하는 쪽에서는 학생들의 생활 통제·집중력 강화 등 면학 분위기 조성을 그 이유로 들고 있다.

두발자유화, 그 짧지 않은 역사

두발자유화를 실시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두발 제한을 두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군대, 학교, 교도소 등 특수한 집단에서 이뤄진다.

하지만 두발자유화 역사가 의외로 길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 몽골의 침략으로 인해 두발 문제가 불거졌다. 고려 충렬왕이 신하와 백성들에게 몽고식 변발을 할 것을 요구했고, 백성들은 반발했다.

조선시대는 유교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라고 해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을 치욕으로 생각했다.

이에 1895년 고종은 단발령을 내렸지만 일반인들의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당대 유림의 거두 최익현은 “내 머리는 자를 수 있을지언정 머리털은 자를 수 없다”면서 단발을 단호히 거부했다.

이후 광복이 되면서 학생들을 중심으로 두발제한이 이뤄졌다. 1960년대에도 학생들 사이에서 두발자유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지만 시행은 되지 않았다.

오히려 박정희 군사정부 때인 1970년대 히피 문화가 유입되면서 장발이 유행했으며, 이에 군사정부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두발단속에 들어갔다.

반면 학생들의 두발 규정은 점차 완화됐고, 1982년 중고등학생의 교복 자율화와 더불어 두발자유화가 실시됐다. 그러나 완전한 자유화는 이뤄지지 않고 두발의 모양과 길이에 대한 제한은 여전히 존재했다.

이런 두발 제한을 서울교육청에서 완전히 폐지를 하겠다고 선언했고 논란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