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수자·세월호유가족·전교조·여성 등의 순으로

▲ 사진출처= 픽사베이

[뉴스워치=김도형 기자] 지난 6·13 지방선거는 그야말로 혐오의 시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빨갱이’ 프레임이 선거의 주요 단골 소재라면 이번 지방선거의 소재는 ‘혐오’였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김문수 전 자유한국당 서울시장 후보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도시개발 공약을 ‘낡은 환경지상주의’라고 비판하면서 “아름다운 여성이 전혀 화장도 안 하고 씻지도 않는 게 아니지 않냐. 매일 씻고 피트니스도 하고 자기를 다듬는다. 도시도 항상 다듬고 옆집하고 비교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차별적인 논리를 끌어서 상대후보를 공격한 것으로 혐오를 조장하는 내용이다. 이같은 혐오 발언이 이번 지방선거에 유독 많이 나왔다.

인권위에 접수된 신고건수만 해도...

국가인권위원회와 지방선거혐오대응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한 17일 토론회에서는 정치인들의 혐오표현 사례가 발표됐다.

신고센터에 접수된 혐오표현은 5월 31일부터 6월 13일까지 2주간 25명의 후보가 발언한 61건의 접수내용이다.

시민들은 유세 현수막, 후보자가 발송한 문자, 선거 공보물, 후보자의 유세와 TV토론회 등에서 직접 보고 들은 것을 제보했다.

가장 많이 접수된 후보자는 김 전 시장 후보를 비롯해 박선영 전 서울교육감 후보로 각각 8건이다.

명노희 전 충남교육감 후보(6건)와 설동호 전 대전교육감 후보·박성호 전 경남교육감 후보(3건) 등이었다.

김 전 후보는 성소수자 비하 발언을 비롯해서 세월호 참사를 가리켜 “세월호처럼 죽음의 굿판을 벌이고 있는 자들은 물러가라”는 등 세월호 참사 혐오 발언도 있었다.

주요 혐오표현 대상은 성소수자(49건)와 세월호유가족(92건), 전국교직원노동조합(2건), 여성(2건), 장애인(1건), 기타(5건) 등이었다.

빨갱이가 사라지고 ‘혐오’가 도래하고

이번 지방선거가 다른 선거에 비하면 유독 혐오가 많은 이유는 그동안 선거에서 단골소재로 사용됐던 ‘빨갱이’ 프레임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이른바 ‘좌파정권’이라는 프레임 자체를 보수당에서 사용하면서 상대를 제압해왔던 선거전략이 지난해 대선 때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새로운 선거전략 수단으로 ‘혐오’를 택한 것이다.

특히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워마드 등 남녀 혐오 조장 사이트가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이에 정치권도 편승하기 시작했다.

정치인이 당선되기 위해서는 상대 지지층보다 자신의 지지층이 더 굳건해야 하는데 기존의 빨갱이 프레임이 그것을 담당해왔다면 이제 남성이나 여성 혐오가 그것을 담당하기 시작한 것이다.

평등선거 방해 요인

하지만 결국 혐오 표현은 평등선거를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런 이유로 혐오 표현을 자제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인으로서는 혐오 표현이 매력적인 수단인 것은 틀림없다.

이에 일각에서는 혐오 표현을 사용하는 정치인에 대해 형사처벌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하지만 형사처벌을 할 경우 그에 따른 표현의 자유 억압이라는 굴레가 덧씌워지면서 마치 표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투사 이미지가 투영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이유로 혐오 표현을 하는 정치인을 형사처벌하기보다는 다양한 비강제적 수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혐오 표현을 사용한 후보자는 절대 당선될 수 없다는 유권자의 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꾸준하게 모니터링을 하는 것은 물론 유권자들에게 혐오 표현을 하는 정치인에 대해 올바른 정보전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