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거치면서 근린공원...해방 이후 독립투사 묘소로

▲ 국가보훈처가 내년 3·1 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계기로 백범 김구 선생 등의 묘소가 있는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을 '독립운동 기념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16일 전했다. 사진은 효창공원 내 백범 김구 선생 묘역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뉴스워치=김정민 기자] 서울 효창공원을 하면 누구나 ‘공원’을 떠올리지 그 장소가 임시정부 요인들과 독립투사의 묘소가 있다는 것을 선뜻 떠올리지 못한다.

국가보훈처가 16일 내년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해 효창공원 성역화를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연구용역 의뢰 등 ‘독립운동 기념공원’으로 성역화하기로 했다.

효창공원은 백범 김구 선생의 묘소와 안중근 의사의 가묘 등이 있는 그야말로 독립운동의 성지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국립묘지로 승격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효창공원을 독립운동의 성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갖고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다.

핵심은 효창운동장 이전

효창공원이 독립운동 성지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핵심은 바로 효창운동장의 이전 작업이다.

2005년 효창공원의 독립공원화를 추진하려고 했지만 효창운동장 대체 축구장 선정 실패 등으로 무산됐다.

효창 공원은 김구 선생과 삼의사(이봉창·윤봉길·백정기) 묘소가 있으며 안중근 의사의 가묘와 이동녕·차이석·조성환 선생 등 임정 요인 묘역을 포함해 총 8명의 독립유공자 묘역이 조성돼 있다.

그야말로 독립운동의 성지이다. 하지만 이들 묘역만 국가 소유이고 나머지는 서울시와 용산구 소유이이다. 따라서 보훈처가 이들 지자체와 협의를 해야만 독립운동 성지화가 가능하다. 때문에 서울시와 용산구의 결단이 필요하기도 하고, 효창운동장의 이전 작업이 가장 큰 숙제이자 난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독립운동의 성지, 하지만 아픈 역사도 간직

효창공원은 ‘송림(松林)’이 우거진 곳이었고 조선시대에는 조선왕실의 묘역으로 사용됐다. 정조의 맏아들로 태어나 왕세자로 책봉 받았으나 일찍 요절한 문효세자의 무담이었다. 당시 ‘효창원(孝昌園)’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1894년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 300명이 효창원 앞 송림 내의 선혜청 창고였던 만리창이 있던 곳에 야영을 하면서 숲이 파헤쳐졌다.

일제강점기 때에는 일제에 의해 ‘구(舊) 용산고지’라 불리면서 일본군이 숙영목적과 독립군 토벌 및 소탕작전 등을 펼쳤던 비밀작전지(地)로 사용됐다. 그러면서 문효세자의 묘 등을 경기도 고양 서삼릉으로 이전하면서 1940년 조선총독부 고시 제208호에 의해 ‘효창공원’이 됐다.

해방 이후 일본군 숙영지가 철거되면서 1946년 윤봉길, 이봉창 백정기 등 삼의사 유해 및 이동녕, 조성환, 차이석 등의 3인 유해가, 1949년 7월에는 백범 김구의 유해가 이 공원 묘역에 안장되면서 독립운동의 성지가 됐다.

하지만 효창공원은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 들어서면서 많은 상처를 안아야 했다. 1956년 정부는 독립운동가들의 묘를 이장하고 효창운동장을 건립하겠다고 발표를 했다. 그러자 김두한 의원은 “선열에 대해서는 물질보다 추모의 정신으로 보답해야 만큼 우선 정부는 분묘에 대한 모든 절차를 결정한 후에 운동장 설비공사에 착수했어야 할 것이라”면서 “효창공원의 선열 묘지는 성묘이다. 이 성묘를 함부로 파서 헐어 트리는 것은 생명을 조국광복에 바친 선열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고 말했다. 결국 공사중지건의안은 여야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하지만 1959년 6월 AFC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유치가 확정되자, 대한민국의 이승만 대통령은 효창공원에 축구 경기장을 짓도록 지시했고, 한달 뒤 1959년 7월 14일 이기붕 대한체육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제 축구 경기장 건설 위원회가 구성된 후 효창공원 내 7822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1959년 11월 19일 축구장 건설에 들어갔다.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전 대통령은 골프장을 만들려는 공사를 시도하다 저지당하고, 1969년에는 효창공원에 반공투사 위령탑, 1972년에는 김구의 묘 옆에 노인회서울시연합회와 대한노인회중앙회 시설을 세웠다.

국립묘지 승격 예우해야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독립투사를 현충원에 이장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립현충원에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된 인물들이 아직도 일부 안장돼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독립투사와 친일파를 한 자리에 앉장할 수 없다.

현재 친일반미녹행위자로 규정된 인물 중 7명은 국립서울현충원에, 4명은 국립대전현충원에 묻혀 있다.

효창공원이 남다른 의미를 갖고 있는 이유는 백범 김구 선생이 생전에 효창공원 독립운동 동지들 곁에 안장해달라는 유훈을 남겼고 묘역 자체를 김구 선생이 직접 조성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국립묘지로 승격해야 한다는 여론이 뜨겁다. 하지만 국립묘지로 승격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안의 처리가 필요하다. 이에 지난 19대 국회에서도 제출됐지만 19대 국회에서 제출되었지만 관계기관 및 지역 주민의 반대로 폐기됐고, 효창공원의 독립공원화도 2005년 대통령 지시 하에 추진되었지만 효창운동장 존치 또는 대체구장 조성 등의 문제로 무산됐다.

바른미래당 이찬열 의원이 국가보훈처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서훈이 취소되어 국립묘지 안장자격을 상실한 인사 중 이장을 실시한 인원은 총 14명이다.

이들은 독립운동을 이유로 서훈을 받아 현충원에 안장됐으나 96년 5명, 11년도에 10명이 친일반민족행위를 했음이 밝혀져 서훈이 취소됐으며 이 중 14명이 국립묘지 안장자격을 상실하여 후손들에 의해 이장됐다.

이 의원은 “순국선열의 숭고한 얼이 서린 효창공원이 그저 평범한 동네 공원으로 방치되어 독립운동의 숭고한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한 해 앞두고 역사 인식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효창공원을 국립묘지로 승격해 정부 차원에서 예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