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항 지역 주민 공포에 집배원 과로사까지...일각에서는 ‘공포는 과도’ 평가도

▲ 지난 16일 오후 우체국이 직원 3만 명과 차량 3200대를 동원해 전국에서 수거한 대진침대 매트리스가 충남 당진항 야적장으로 옮겨지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뉴스워치=강민수 기자] 라돈 침대 공포가 확산되면서 충남 당진항 주변 주민들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의 발표를 신뢰하지 못하겠다면서 직접 전수조사에 나서고 있다. 라돈 침대 공포 이슈에서만큼 무정부 상태에 빠진 모습이다.

특히 라돈 침대를 수거하는 우체국 집배원이 심정지사 하면서 이를 두고 과로사 논란까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라돈 침대 공포는 더욱 확대재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일가에서는 라돈 침대 공포는 과도하다는 평가도 내리고 있다. 생활 속에서도 방사능에 피폭되는데 단지 라돈 침대라는 이유로 무조건 두려워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격분한 당진항 지역 주민...왜

라돈 침대를 쌓아둔 충남 당진항 주변 주민들은 항의를 하고 있다. 정부는 안전하다고 하지만 지역 주민은 꺼림칙하다는 것이다.

지난 주말 사이 우체국 물류망을 통해 대진 침대 매트리스 약 1만 8천여개가 수거됐다. 이에 지역 주민들은 방사선이 방출되는 매트리스를 모아뒀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물론 정부에서는 야적장의 매트리스에서 나오는 라돈 방사선량이 지역 주민들에게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다고 말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은 공포에 휩싸여 있다.

집배원의 심정지사, 라돈 침대 수거 때문

한편, 라돈 침대 매트리스를 수거하던 50대 집배원 A씨가 심정지로 쓰러져 사망했다. 이에 노조에서는 과로사라고 주장하고 있다. 6·13 지방선거 기간 공보물 배달로 추가 근무를 했고, 사망 당일까지 라돈 침대 매트리스 수거 작업에 투입됐다면서 과로사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우정본부는 매트리스 수거 업무와 돌연사는 관계가 없다고 해명했다.

대진 침대 측은 라돈 침대 공포가 확산되면서 매트리스 8만여개를 수거하기로 했지만 운송업계는 안전을 이유로 수거를 거부했고, 대통령 특별지시를 받은 국무총리실 요청으로 집배원과 행정직 직원들이 수거에 들어갔다.

문제는 집배원은 6·13 지방선거 공보물 배달로 인해 초과 근무를 한 상황에서 다시 매트리스 수거 작업에 착수하면서 과로사가 됐다는 것이 노조 측의 설명이다.

결국 시민단체 팔 걷고 나서

결국 시민단체는 팔을 걷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과 시민 방사능감시센터는 19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있는 서울 종로구 KT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생활방사능 119 전국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들 단체는 생활 속 방사능 의심 제품을 신고하는 인터넷 사이트(방사능119.com)를 열고 방사능에 관한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신고받은 제품의 방사능 수치를 직접 측정하고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할 계획이다.

안전에 문제 없다고 하지만 정부 대응은 미흡

이런 가운데 라돈 침대의 공포가 과도한 측면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정부의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대한방사선방어학회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정부가 범부처 대응으로 신속한 사태 수습을 약속했지만 수거 지연, 소통 미흡, 정책방향 불투명으로 불안이 확산됐다”고 지적했다.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김용재 박사는 라돈 침대 공포의 핵심은 토론이라고 주장했다. ‘라돈’의 반감기는 3.8일인데 비해 ‘토론’의 반감기는 55.6초로 문제의 매트리스 표면으로부터 수십센티만 떨어져도 피폭 영향은 현저히 떨어지며, 도배, 장판 시공, 비닐커버만으로도 99.9% 저감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방사선방어학회의 지적대로 라돈 침대의 공포가 과도한 측면이 있지만 정부가 수거 지연, 소통 미흡, 정책 방향 불투명으로 인해 공포가 확산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