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성향 강해 ‘구관이 명관’ 자조 섞인 푸념도

 

[뉴스워치] 금융권이 김기식 금융감독원장 후임으로 누가 올지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결과적으로 문재인 정부는 윤석헌 서울대 객원 교수를 선택했다.

문 대통령이 "관료출신은 금융개혁을 할 수 없다"고 가이드라인을 공식적으로 친데다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과감한 외부 발탁으로 충격을 주어야 한다는 욕심이 생긴다”고 말한 배경이 통한 셈이다.

사실상 금융.재벌의 ‘저승사자’로 통하던 김기식 전 금감원장 후보 낙마 이후 더 쎈 카드를 내놓아야 한다는 의미로 후임 인선의 최대 기준이 된 셈이다.

윤 교수는 대표적인 개혁 성향 금융경제학자다. 그는 현재 금융정책 자문기구인 금융발전심의위원회 위원장과 금융위원회 직속 금융행정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혁신위 위원장으로 있으면서 윤 교수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차명 계좌에 대한 과징금 부과와 금융공공기관에 노동이사제를 도입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특히 윤 교수는 문재인 대통령이 찾던 비관료 출신이기도 하다.

한편 금융권과 재벌가들은 윤 교수의 임명에 안심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당초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사장이나 김오수 법무연수원장이 금감원장으로 올 경우 ‘최악’이라는 분위기가 역력했기 때문이다.

주 전 사장의 경우 청와대 청원게시판에 신임 금감원장으로 임명해 달라는 청원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던 참이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주 전 사장은 세계은행 컨설턴트와 삼성증권, 우리투자증권 등을 거쳤으며 2013년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로 영입됐다. 그는 한화투자증권 재직 시절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대해 부정적인 보고서를 내면서 주목을 받았다.

특히  사장직에서 물러난 뒤 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에서는 재벌들을 비판하는 소신발언으로 스타로 떠오르기도 했다.

당시 참고인으로 출석한 주 전 사장은 “재벌들은 옛날에는 집행유예 받고, 병원 가고 말다가 최근 한두 분씩 감옥에 가기 시작했다”면서 “이번에도 재벌이 감옥에 가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최순실 국정농단 같은 폐해가 반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발표를 봤을 때 저렇게 돈 많은 사람이 치사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며 놀랐다”면서 “특히 국민연금까지 동원한 대담함에 놀랐다”고 일갈했다. 문제는 주 전 사장이 ‘김종인 사람’으로 분류되고 있는데다 금융권 재직 당시 잡음이 많다는 점, 그리고 금융권 반발이 김 전 후보보다 더 클 수 있어 정부차원에서 부담스럽다는 점이 걸림돌이 됐다는 후문이다.

반면 김 원장은 전남 영광 출신으로서 이낙연 총리와 동향에다 서울대 후배다. 김 원장은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 사법고시 30회로 공직에 입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서울고검 형사부장,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장, 서울북부지검장 등을 거쳤다.

현재는 법무연수원장으로 재직 중인 정통 법조 엘리트다. 검사 시절 금융이나 민사, 특허 쪽 사건을 많이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직접적인 금융권 경험은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받아들졌다. 특히 김 원장의 경우 재벌쪽에서 견제가 심해 막판 금감원장 선택에서 탈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금융권과 재벌은 ‘머 피하려다 머 만난 격’이 된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윤 신임 금감원장이 교수출신이지만 개혁성향이 강해 ‘구관이 명관 아니냐’는 자조섞인 푸념도 나오고 있다.

백운악 객원기자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