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치=김도형 기자] 대한민국 청년 2명 중 1명은 대한민국 사회에 대해 ‘완전히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새누리당 산하 여의도연구원(이사장 김무성) 청년정책연구센터는 전국 5대 권역의 20대 남녀 5,281명을 대상으로 2015년을 살아가는 청년들의 사회·경제 가치관을 조사한 결과, 54.9%가 완전히 바뀌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한 세월호 참사 1년 동안 대한민국 사회가 개선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72.3%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실업(73.6%)과 빈곤(63.5%), 자살(33.9%)의 책임은 정부에게 있으며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특히 자살을 생각해본 32.8%의 청년들은 가장 큰 이유로 취업과 미래에 대한 불안(23.3%)을 꼽았다.

10명 중 9명(91.3%)은 성공을 위해 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더 나아가 대인관계, 결혼, 교육, 건강에까지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특히 15.6%는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 경제력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 합법적으로 부를 축적하는 것은 어려우며(31.3%), 2명 중 1명(49.6%)은 미래에 희망하는 만큼의 부를 축적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명 중 1명(56.2%) 가사에서 남녀의 역할을 구분하는 것에 반대했으며, 41.2%는 남성도 육아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가정의 영역뿐만 아니라 직장의 영역에 있어서도 남녀 역할 구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65.8%)고 응답했다. 그러나 62.1%가 사회 곳곳에서 남녀의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응답했다.

절반 이상의 청년들(54.3%)이 누구에게나 수혜가 주어지는 보편적 복지가 아닌, 꼭 필요한 사람에게 수혜가 돌아가는 ‘선별적 복지’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초중등 무상급식(56%)과 영유아 무상보육(49.5%)도 선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김무성 여의도연구원 이사장은 “정부와 사회에 대한 청년들의 불신도가 높다. 청년들은 취업 전쟁으로 인해 지쳐 가는데, 정부와 사회가 이념 정치와 당파 정치에 머물러 청년들의 삶을 돌아보기 않기 때문이다. 신뢰할 수 있는 대한민국, 청년이 살기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이념 정치를 벗어나 청년들의 생활 속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생활 정치’로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